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왜 안좋은건지 궁금해요
작년도에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높아서
금리를 인상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던거같은데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왜 안좋은것이고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왜 금리를 인상하는 정책을 하는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이라고 하는 것은 화폐의 유동성 공급의 증가로 인한 화폐의 상대적 가치하락 현상을 의미하는데,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승이 가속화되며 이러한 사례는 짐바브웨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자고 일어나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여서 오늘 1개를 살 수 있었던 물건이 내일은 0.5개도 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화폐가 더 이상 가치저장의 수단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국가 부도로 이어질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화폐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같은 돈이라도 물가가 높을 때에는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화폐 가치를 다시 올리기 위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률이 높다면 경제가 위축되고 소비 등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 물가를 잡아야 경제가 정상화되기에
필히 물가를 잡으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실질 소득이 감소합니다. 실질 소득은 명목 소득에서 물가 상승률을 뺀 것을 의미합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명목 소득은 그대로인데 물가 상승으로 인해 실질 소득이 감소합니다. 실질 소득이 감소하면 소비가 줄어들고,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면 저축의 가치가 떨어지고, 투자가 위축됩니다. 투자가 위축되면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임금 상승률이 높아집니다. 임금 상승률이 높아지면 기업의 비용이 증가하고, 기업의 수익이 감소합니다. 기업의 수익이 감소하면 투자가 위축되고,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사회적 갈등이 심화됩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서민층의 실질 소득이 감소하고, 서민층의 생활이 어려워집니다. 서민층의 생활이 어려워지면 사회적 갈등이 심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