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이득 250만원 이후부터는 22% 세금 왜 이렇게 잔인하나요?
미국 주식 투자로 얻은 이익에 대해 250만 원까지는 면세지만, 이를 초과하면 22% 세율이 적용된다고 하더군요.
소액 투자자 입장에서는 과도하게 느껴지는데, 왜 이렇게 높은 세율을 부과하는 걸까요?
일본 등 다른 나라에 비해 세금 부담이 커 보이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왜 이렇게 높은 세율을 부과하는지, 그리고 이런 세율 구조가 유지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해외 주식 투자자의 입장에서 현실적인 이해가 필요해 보이는데,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세금을 거두어야
정부와 각종 복지제도의 운영이 가능한 등
이에 따른 높은 세금을 부과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절세계좌를 적극 활용하셔야 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인구의 수에 의하여 국력이 결정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국방이나 국가의 힘을 나타내는 것은 돈입니다 미국 국민들과 미국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그것을 다 알고 있습니다 세금을 올리는 것은 복지 비용도 당연히 나중에 본인들을 위해서내는 것이고요 그 모든 것들이 국력을 키우는 일입니다 나는 잔인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가 초라해지면 안 되겠지요
1명 평가이게 기타자산 소득인가 카테고리 세율이 이렇다고 합니다.
그래서 코인도 이렇게 과세하려고 하는데
제가봤을때는 코인보다 해외주식 투자를 훨씬 장려해야될것같은데 말이죠.
국내주식도 과세하려고 했는데 국내주식은 국내기업 진흥차원에서 안했었다고 알고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솔직히 22%는 너무 과하다고 생각합니다.
목적이야 세수 확보와 소득 공정성이라고 하지만 내가 노력해서 내가 번 돈을 그렇게 심하게 세금으로 가져간다고 하니 솔직히 억울한 상황인거 같습니다.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도 세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지만 이는 국내 주식과의 형평성 유지 및 재정적 필요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국내 자금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국내 주식 양도소득세 보다 과도하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인데요.
다른 나라 사례를 살펴봐도 미국, 영국, 일본 역시도 과세를 하는데 우리나라가 조금 더 세율이 높은편이긴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