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길의 주요내용은 무엇인가요?
1998년 영국의 사회학자인 앤서니 기든슨이 출간한 도서의 이름인 제3의 길의 주요 내용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따뜻한말32입니다.
제3의 길은 토니블레어와 안소니 기든스 등에 의하여 지지된 정치적 노선을 말합니다.
20세기 초반 이후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등과 같은 지배적 이념들은 각각 특정 시대의 각 분야에 그 이념과 정책이 수립되고 수행되는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지난 90년대 중반 이후에 등장한 이데올로기로는 중도노선(The Middle Way)이나 제3의 길(The Third Way)식의 이념들이 있다. 특히 ‘제3의 길’은 영국의 사회학자인 기든스(Anthony Giddens)가 제시한 것으로 영국 집권당(노동당)의 토니 블레어 수상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으며 복지 영역을 위시하는 통치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대한 비판들도 적지 않았으나 사회민주주의와 시장민주주의의 한계와 가능성을 절충하는 실천적이며 실용적 지향성을 갖는 중도적 이념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제3의 길' 은 영국의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가 주창하고, 토니 블레어 영국총리가 현실정치에 적용 중인 정치이념으로 좌.우의 이념을 초월하는 실용주의적 중도좌파 노선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공공지출 축소, 세금인하, 사회복지 개혁,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경제적 역동성 확보 등을 표방했습니다. 블레어 총리는 이를 기반으로 국영기업의 민영화를 강력히 추진했고, 사회보장제도에도 개혁의 칼날을 들이댔습니다. 각종 복지수당을 줄이는 대신 일자리 창출에 주력했다. 그 결과 일부 지역경제가 활력을 되찾았고 실업률도 상당히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에릭 홉스봄.스튜어트 홀 등 좌파 이론가들은 '제3의 길은 없다' 라는 책에서 "현실정치에서 좌파와 우파를 넘어선다는 것은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 고 비판했습니다. 이들은 "자유와 평등을 조화시킨다는 제3의 길이 실제로는 평등 없는 자유로 귀결되고 있다" 고도 주장했습니다. 정계에서도 "블레어 정권의 전략은 '바지 입은 대처리즘'이라는 혹독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