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과감한자라13
과감한자라13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 쇼크로 엔비디아가 급락했는데 고사양 AI 가속기가 필요없는 것일까요?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가 저사양의 제품으로 챗GPT 못지않은 AI 서비스를 개발했다는 소식에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관련 대표 기업의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고사양이 아닌 저사양 가속기를 쓰면서도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 고가의 가속기 무용론을 퍼지게 했는데 과연 고사양 AI가속기는 필요 없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가로운오후
    한가로운오후

    안녕하세요^^ 저도 딥시크를 사용을 해봤는데요

    유료인 챗gpt 보다 더 나은 부분이 많더라구요

    글을 다듬어 주는거나 요약하는것도 훨씬 딥시크가 좋았어요

    제가 생각에는 미국이 주도하는 ai 가 너무 과도하게 거품이 낀걸로 보입니다.

    실제 개발비도 너무 과도하게 높은데 실제 나온건 그저그런 수준이구요

    오히려 딥시크에 개발비는 챗gpt 에 1/10 수준이라고 해서 더 놀랐구요

    ai 칩도 성능이 떨어지는 구형칩이라고 합니다.

    구형칩으로 성능이 더 좋거나 비슷하다는게 밝혀졌으니

    챗gpt와 엔비디아가 거품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 미국에 기업들에 주식이 폭락하고 있는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사양 AI 가속기를 사용하여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한 사실은 엔비디아와 같은 고사양 AI 가속기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저사양 가속기인 H800을 사용하여 약 557만 6,000달러의 비용으로 AI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기존 AI 모델 개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입니다.

    이러한 사례는 AI 모델 개발에 있어 고사양 가속기의 필요성을 재고하게 만듭니다.

    딥시크의 성공은 효율적인 알고리즘과 최적화된 하드웨어 활용을 통해 고성능 AI 모델을 저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