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2.21

한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종이를 사용한 시기는 언제입니까?

예전 사극에서 서적을 목간이나 죽간으로 만들어진 장면을 몇번 본적이 있는데, 한국 역사에서 종이가 처음으로 사용된 시기는 언제입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지술이 우리 나라에 언제 보급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고구려시대에서 크게 발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고합니다. 610년(영양왕 21) 고구려의 담징이 종이와 먹 만드는 법을 일본에 전해 준 사실로도 입증됩니다.


    우리 나라의 종이는 주로 닥나무의 껍질을 원료로 만들었으며 조선시대 세종 때에는 조지서에서 표전자문지와 각종의 색지를 만들어 냈고, 또 닥나무의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닥 1푼에 볏짚·보릿짚·버드나무껍질·뽕나무껍질·율무·삼대 등을 5푼 섞어 만들기도 하였다고합니다.

    우리 나라의 종이는 원료·용도·상태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게 붙여졌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닥나무를 원료로 사용하여 희고 질기고 반드럽게 만든 책지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 나라의 종이는 삼국시대부터 대량생산되어 국내는 물론 중국에까지 널리 보급, 애용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제지술은 고구려 시대부터 크게 발달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이는 ‘지(紙)’의 글자로 보아 알 수 있듯이, 본래 겸백(縑帛)이라는 비단으로 만든 것을 일컫는다. 그 종이는 값이 비싸고 귀하여 일반사람들의 이용이 매우 어려웠다. 그리하여 부분적으로 개량이 이루어져 왔던 것이나, 105년에 이르러 채륜(蔡倫)이 나무껍질과 삼 머릿부분의 식물성 재료를 주로 사용하고 폐품의 비단을 섞어, 종이를 염가로 대량생산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 제지술이 우리 나라에 언제 보급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고구려시대에 벌써 크게 발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610년(영양왕 21) 고구려의 담징이 종이와 먹 만드는 법을 일본에 전해 준 사실로도 입증된다.

    우리 나라의 종이는 주로 닥나무[楮]의 껍질을 원료로 하였는데, 그 껍질을 물에 담가 겉껍질을 벗겨 잿물에 넣어 고은 뒤 찌어, 펄프상태로 만들어 표백한 다음 점액을 섞어 치밀한 발로 떠내어 널빤지 위에 말렸다.

    이와 같이 하여 희고 질기고 튼튼한 종이가 만들어졌는데, 이것을 백추지라 일컬었다. 더욱이 상품의 종이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종이를 두텁게 뜨고 풀을 먹여 다듬이질하였다. 그 종이는 반드럽고 빳빳하고 윤기가 나고 질겨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었다.

    중국에서는 이러한 계림지(鷄林紙)를 견지(繭紙)라 애칭하였다. 누에고치실로 만든 견포(絹布)와 같이 종이의 질이 곱고 질기고 반드럽고 윤이 나므로 그와 같이 특칭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중국 학자들은 당나라 때부터 한지(韓紙)를 다투어 수입, 애용하면서 ‘천하소보(天下所寶)’의 종이라 격찬하였다.

    조선시대 세종 때에는 조지서(造紙署)에서 표전자문지(表箋咨文紙)와 각종의 색지(色紙)를 만들어 냈고, 또 닥나무의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닥 1푼에 볏짚·보릿짚·버드나무껍질·뽕나무껍질·율무·삼대 등을 5푼 섞어 만들기도 하였다.

    우리 나라의 종이는 원료·용도·상태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게 붙여졌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닥나무를 원료로 사용하여 희고 질기고 반드럽게 만든 책지(冊紙)이다. 이와 같이 우리 나라의 종이는 삼국시대부터 대량생산되어 국내는 물론 중국에까지 널리 보급, 애용되었던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冊]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종이는 가장 오래된 기록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기록에 사용된 재료는

    크게 죽간·목독, 겸백(비단), 종이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죽간과

    목독의 경우 상고로부터 3·4세기까지, 겸백은 기원전 4·5세기부터

    5·6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종이는

    2세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출처: 청주고인쇄박물관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한국 역사에서 종이가 처음 사용된 시기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고려시대 중기(11세기 후반~12세기)에 종이 생산 기술이 중국에서 전해졌다고 여겨지며, 이후 조선 초기(15세기)에는 종이 제조가 활발해졌습니다. 종이는 글씨를 적기 위한 매체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조선 시대에는 문인들이 종이를 이용해 문학 작품과 서적 등을 창작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한반도에서 종이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2세기∼7세기 사이에 전래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2세기에 전래되었다는 설은 현재까지 한지의 주원료인 닥에 대한 음운론적 접근에서 비롯된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종이가 처음 사용된 시기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백제 시대(4세기)에 중국의 문화와 함께 종이를 수입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추정됩니다. 이후 고려 시대(1014세기)에는 종이 생산 기술이 전파되면서 국내 생산이 가능해졌고, 조선 시대(1419세기)에는 인쇄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문화와 교육에 큰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전에도 한국에서는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서적을 만들었습니다. 고대의 경우에는 금속판이나 나무판 위에 글씨를 새기거나, 글자를 새겨 만든 돌판을 사용하였습니다. 이후 백제 시대에는 재래기와 종이를 사용하여 책을 제작하기 시작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종이를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없지만, 종이는 중국에서 기원한 문화재료 중 하나라고 합니다.

    종이는 인류가 문명을 발전시키면서 필요해졌던 문화재료 중 하나입니다. 종이가 최초로 발명된 곳은 중국으로, 기원전 100년경에 이미 종이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2세기 초 채륜이 초지법을 완성한 이래 중국의 당나라에서는 종이의 생산술과 이용법을 전국에 보급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 전파와 함께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어 동양에서는 일찍부터 종이의 혜택을 누려왔다는 내용이 있으나 불교가 전파된 시기와 종이가 사용된 시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