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세계사 관련해서요. 영국은 왕이 직접 통치를 안하나요?

세계사를 공부하거나 언론에서 볼때 다른 나라의 왕은 나라의 모든 일을 통치하고 있는걸로 아는데요. 왜 영국은 왕이 직접 통치를 하지 않을까요? 이유를 아시는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은 입헌군주제로써 군주, 즉 국왕이 있기는 하되 왕의 맘대로 통치 행위는 하지 못하고 헌법에 의하여서만 통치행위를 하게된 국가의 형태입니다.

    그러기에 왕은 직접통치를 하지않지요.

    따가서 국왕이 하는일은 신임 외국대사나 이임외국대사들을 접견하는것입니다.

    그리고국회가 개원할때 참석 인사 축하하며 수상.대법원장.상원,하원의장 임명장을 주지요. 수상이나 국회가 문제가 생기면 해산시키고 재선거를 선포합니다. 국가 원수로 외국을 방문하며 전쟁선포를 합니다.

  • 나무777
    나무777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은 1688년 명예혁명 이후로 입헌군주제로 바뀌었습니다.

    왕이 있으나 절대 군주제처럼 왕이 모든 권력을 갖는 것이 아니라, 왕도 헌법 아래 헌법이 정한 권한을 가지고

    총리를 수반으로 하는 의회/내각이 나라를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교육부 포스팅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있습니다.

    영국 왕실의 상징인 엘리자베스 여왕. 그녀는 영국의 여왕으로써 국제적인 행사에 참여를 하고 있지만 정치적인 문제에는 전혀 간섭을 하지 않습니다. 한 나라의 국왕인데 말이죠. 그렇다면 왜 영국의 여왕은 정치에 참여를 안 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영국은 의회가 모든 정치적인 부분을 전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 영국도 왕이 직접 독자적으로 통치를 하던 시기가 있었지만 독재를 펼친 왕에 대항한 영국 의회의 권리장전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하면서 왕권이 계속해서 축소되기 시작했습니다. 앞서 영국 명예혁명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결국 의회는 왕이 가진 행정권과 입법권을 의회가 맡는 의원 내각제로 변하였으며, 왕은 형식적인 군주로써만 지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영국의 여왕과 같은 형태의 형식적인 왕으로 남게 된 것입니다.

    https://if-blog.tistory.com/5193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의 왕과 현대의 왕은 완전히 다릅니다. 영국 국왕의 역할은 매주 총리와 논의·정부 임명·법안 승인등이고 왕은 영국의 얼굴이지만, 그의 권력은 상징적인 힘에 가깝습니다. 정치적으로도 중립을 유지하는 것이 보통이지요. 왕은 56개 주권국과 24억명으로 이뤄진 영연방의 원수이기도 합니다. 영국 뿐 아니라 입헌군주제는 군주가 정부와 국민에 대한 모든 권력을 쥐고 있는 고대의 절대군주제와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현대 입헌 군주국의 몇 가지 예에는 캐나다, 스웨덴 및 일본도 영국과 마찬 가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