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술공연을 보는데 아이가 자꾸 어떤 상황인지 물어보네요
어제 아이와 함께 마술공연을 보는데 아이가 자꾸 마술 어떻게 된 것인지 물어봅니다. 저는 마술공연이 속임수이지만 재미있게 보자고 이야기했는데 아이는 어떤 속임수가 있는지 알려달라고 난리입니다. 공연을 즐기지 못하고 속임수 알아내는데 혈안인데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마술에 대한 호기심이 많다 라면
마술에 대한 그 호기심을 즉각 해소시켜 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마술의 원리에 대해 즉각 설명을 해주지 못할 경우 아이에게 "우리 00가 궁금한 부분은 엄마.아빠가 좀 더 알아보고 알려줄게" 또는 " 우리 00가 궁금해 하는 부분을 엄마.아빠도 궁금한데 우리 같이 한 번 알아볼까" 라고 말을 전달을 해주면서
아이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공연을 보면서 속임수가 무엇인지 알려달라고 떼를 부리거나 공연을 보는데 방해를 한다면 공연이 다 끝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공간으로 데리고 가서 공연을 볼 때 다른 사람을 방해 하는 행동은 옳지 않음을 단호하게 알려주고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해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들이 호기심이 많아서 마술의 원리를 궁금해 하는 건 비교적 자연스러운 일로 볼 수 있습니다.
정답을 찾기보다는 상상해보는 게 더 재밌지 않을지 유도하면서,
공연 후에 함께 상상하면서 토론하듯이 이야기를 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호기심을 억누르는 것보다는 즐기는 방향으로 이끌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마술공연을 볼 때 계속 질문을 할 때 대처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마 인지적 갈등, 불안감 해소 욕구, 통제 욕구, 정서적 연결 시도 등의 심리로 보여집니다.
부모는 공감과 인정을 먼저 하고 정답보다는 상상을 유도합니다.
'너는 어떻게 된 것 같아?'
마술의 본질을 알려줍니다. '마술은 진짜가 아니라, 우리를 놀라게 하려는 특별한 공연이야'
질문을 놀이로 전환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호기심이 강한 거라 이해되지만, 마술은 신비와 상상력을 즐기는 경험임을 알려주세요. '마술은 비밀이 있어서 알려주면 재미가 없어져'라고 말하며, 공연을 함꼐 신기해하고 즐기는 데 집중하자고 제안해보세요. 속임수를 밝히려는 마음을 이해하되, 마술의 매력은 '알수 없는 신기함'임을 강조하고 아이가 좋아하는 마술사나 마술도구를 함께 찾아보며 긍정적 관심으로 유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