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에 따르면 생물은 환경에 적응하며 변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어떤 기준에서 진화와 멸종이 결정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진화론에서는 생물이 환경 변화에 맞춰 점진적으로 적응하며 변화해 간다고 배웠지만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하는 종들도 많습니다. 어떤 기준에서 진화와 멸종이 결정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진화는 유전자 변이가 생존과 번식에 유리할 때 축적이되고, 멸종은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못해서 개체군 유지가 불가능할때 발생합니다. 결국에는 생존력과 번식력이 기준이고, 이 두가지를 넘지못하면 멸종, 넘으면 진화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진화와 멸종은 주어진 환경에서 종 내 유전적 변이가 적응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데, 환경 변화에 적합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있어 번식과 생존이 지속되면 진화하고, 적응할 변이가 없어 생존과 번식이 불가능해지면 멸종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사실 진화와 멸종은 상당히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진화는 변이, 유전, 선택에 의해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게 됩니다.
먼저 같은 종 내에서도 개체들 사이에 다양한 형질 차이인 변이가 존재해야 합니다. 이 변이는 유전자 돌연변이, 유전자 재조합 등을 통해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형질 변이가 자손에게 유전되어야 합니다. 즉, 부모의 형질이 자식에게 전달되는 메커니즘이 있어야 하죠. 이후 환경 변화가 발생했을 때, 특정 형질을 가진 개체가 다른 개체보다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거나 불리해집니다. 이를 자연 선택이라고 합니다.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는 살아남아 더 많은 자손을 남기고, 그렇지 못한 개체는 도태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이 여러 세대에 걸쳐 반복되면서 유리한 형질의 빈도가 증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 전체의 특성이 변화하며 새로운 종으로 분화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멸종은 환경변화의 급격성, 또는 유전작 다양성의 부족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등으로 발생합니다.
즉, 생물이 적응할 수 없을 정도로 급격하거나 예측 불가능한 환경 변화가 발생할 때 멸종 위험이 커지게 된느데 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나 운석 충돌, 전 지구적 재난 등은 많은 생물종의 적응 능력을 초월하여 대량 멸종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 종 내에 유전적 변이가 충분하지 않으면,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형질이 나타날 가능성이 낮아져 멸종에 취약해집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낮으면 특정 질병에 대한 취약성이 커지거나,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진 개체가 없어 종 전체가 멸종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진화는 환경 변화에 대한 개체군 내의 유전적 변이와 자연 선택을 통해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반면 멸종은 생물이 급격하거나 예측 불가능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유전적 다양성 부족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며 종 전체가 사라지는 현상입니다.
진화는 자연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며, 환경에 더 잘 적응하고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생존하여 그 유전자를 후대에 전달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멸종은 생물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급격한 재난 등으로 인해 개체군이 유지될 수 없어 해당 종이 사라지는 현상이며, 이는 기후 변화, 서식지 파괴, 외래종 도입, 질병, 소행성 충돌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