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yarap007
yarap00722.03.11

잘때 너무 건조한데 방법이 있을까요?

잘때 가습기를 틀고 자는데도 일어나면 목이나 코가

건조합니다

방안에 먼지가 많아서도 건조한거에 영향이 있는건지

궁금하기도 하고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행복한봄날입니다.

    우리나라는 일년중 대략 10월 부터 3월 까지는 건조 하기 때문에 가습기를 사용 해야 합니다.

    가습기물은 정수된 물로 해주어야 호흡기에 좋구요, 가습은 대략 30-40%로 맞추어 놓으면 자동으로 유지 됩니다.

    가습기를 쓸 때는 더욱 환기를 자주 해 주어야 합니다.

    습기가 충분하면 침대 등 방안에 미생물이 번식하기 쉽거든요.

    가습기 청소는 자주 해 주어야 합니다.

    빨래를 널어 놓거나 수족관을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여름에는 대략 7월 경 부터 9월 초 까지는 습하게 됩니다.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오고 또 비가 안와도 습기가 많아 아주 눅눅해 집니다.

    이런 기후를 몬순 기후라고 하는데 이럴 때는 제습기를 사용 합니다.

    제습기는 말 그대로 습기를 제거하는 기계입니다.

    에어콘에서 제습기능만 사용해도 많이 시원해 지지요.

    기온이 높아도 습기가 없으면 별로 덥지 않거든요.

    참고로 기온이 높을 때 습도가 높으면 실제보다 더욱 덥고, 기온이 낮을 때 습도가 높으면 더욱 춥습니다.

    아랍국가나 인도 같은곳은 기온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가도 습도가 낮기 때문에 견딜 수 있는 것이고, 하와이나 호주 서유럽 같은 나라들도 여름이 아주 상쾌한 이유가 습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또 캐나다의 캘거리 같은 곳은 겨울에 영하 28-40도 까지 내려가는데 습도가 10% 정도 밖에 안 되어 생각하는 것보다는 덜 추운 것 입니다.

    영국 같은 나라는 겨울에 기온이 그다지 낮지 않아 대략 0도 내외 인데도 기껏 영하 2-5도만 내려가도 습도가 높아 아주 춥습니다.

    그래서 그사람들은 제습기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