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2분기 국내 실질 GDP가 역성장한 이유는 뭘까요?

우리나라의 1분기 GDP가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2024년 GDP 예상치도 크게 상승하였잖아요. 그래서 큰 기대를 했는데 2분기는 오히려 역성장을 했더군요.

2분기 국내 실질 GDP가 역성장한 이유는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024년 2분기 국내 실질 GDP가 역성장한 이유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네요. 1분기 GDP가 예상보다 크게 상승하면서 경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던 만큼, 2분기의 역성장은 많은 사람들에게 놀라운 결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주요 원인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실질 GDP 역성장의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여러 경제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수출 감소, 내수 부진, 금리 인상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실질 GDP에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첫째, 수출 부진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힐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는 수출 중심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출이 줄어들면 경제 성장에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2024년 2분기 동안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주요 교역국의 경제 둔화,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 그리고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수요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우리나라의 수출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화학 제품과 같은 주요 수출품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제조업 생산도 줄어들었고 이는 전체 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둘째, 내수 부진 역시 중요한 요인입니다.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부담이 커지면서 내수 시장에서도 침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고금리로 인해 가계의 소비 지출이 줄어들고, 부동산 시장의 둔화로 인해 관련 산업에서도 부진이 이어졌습니다. 내수 시장의 부진은 경제 전반의 소비를 위축시키고, 이에 따라 GDP 성장에 악영향을 미쳤습니다.

    셋째, 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경제 여건 악화도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대출 이자가 증가하면서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3년과 2024년 초반에 진행된 금리 인상은 기업들이 투자를 줄이고, 소비자들이 지출을 아끼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는 전체 경제 성장에 부담이 되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에게는 금리 인상이 더 큰 타격을 주었을 수 있습니다.

    넷째, 정부 지출 감소도 역성장에 일조했을 수 있습니다. 1분기에는 정부의 재정 지출이 확대되면서 경제 성장에 기여한 측면이 있었지만, 2분기에는 재정 지출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거나, 예산 집행이 지연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재정 지출이 줄어들면 경제 전반의 소비와 투자도 함께 감소하게 되어,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섯째, 외부 요인들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글로벌 경제 환경이 악화되면서 원자재 가격 변동, 공급망 문제, 무역 분쟁 등의 외부적 요인들이 우리나라 경제에 부담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외부 요인들은 국내 경제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 전반에 걸쳐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며, 특히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2024년 2분기 국내 실질 GDP가 역성장한 이유는 수출 부진, 내수 침체, 금리 인상에 따른 경제 여건 악화, 정부 지출 감소, 그리고 외부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이 겹치면서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역성장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향후 경제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정부와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지켜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거나 추가적으로 알고 싶은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분기 국내 실질 GDP가 역성장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4년 2분기의 실질 GDP가 마이너스 0.2퍼센트가 된 것은

    내수가 침체 되어서 그런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올 2분기의 gdp에 있어서 역성장한 것은

    건설투자와 민간소비가 부진하고 더불어서

    순수출과 내수동반 부진 등의 이유로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오늘 발표된 지디피와 지앤아이 지표가 상당히 안좋게 나왔습니다.

    특히 지앤아이는 2년9개월만에 가장 큰 하락이라고 한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락한 것은 민간소비와 건설투자가 큰 부분이라고 합니다.

    민간소비는 승용차와 의류 등 재화 소비 부진으로 0.2% 감소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등 기계류 중심으로 1.2% 축소됐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발표된 자료 들을 찾아보니 정부 지출과 수출 회복세가 이어졌으나 내수 부진과 설비투자 부진 등으로 인해 GDP가 역성장하였다고 합니다.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부문과 투자액이 전년동기대비 감소추세를 보이며 큰영향을 주었고 수입액이 증가하여 손수출액이 감소하였기 때문입니다.

    소비부문은 0.2프로 감소하였고 실제 올해 소비는 면세빼고는 전부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기업투자도 급감하는 추세인데 건설투자는 1.1프로감소 시설투자는 2프로이상 감소하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