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6

프랑스에 일어난 혁명원인은 무엇인가요?

프랑스에 혁명이 일어났었는데 혁명 일어난 원인이 궁금합니다 왜 일어 났을까요? 프랑스 역사 전문가님들

원인과 이유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기중 전문가blue-check
    이기중 전문가22.12.17

    안녕하세요. 이기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첫 번째 원인은 프랑스가 봉건제 사회였다는 점입니다. 이미 봉건적 잔재를 청산하고 산업화의 길로 들어선 영국에 비해 프랑스에는 여전히 영주의 각종 지대와 시설 독점권, 하급 재판권 등 봉건제적 잔재가 남아 농민들을 억압하고 있었습니다.

    두 번째 원인은 프랑스가 특권적 신분 사회였다는 점입니다. 18세기 프랑스 사회는 세 개의 신분으로 구분된 신분제 사회였다. 제1신분에 속한 성직자들은 프랑스 전체 토지의 10분의 1 가량을 소유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십일세를 징수하였고 교육과 구빈사업, 출판물의 검열에 의해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였습니다. 제2신분에는 혈통 귀족인 대검 귀족(帶劍貴族)과 관직 매입으로 귀족이 된 법복 귀족(法服貴族)이 있었습니다. 귀족들 역시 전국의 5분의 1의 해당하는 대규모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귀족들은 전통적으로 직업을 가지거나 상업 행위에 종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르주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몰락해가고 있었습니다. 특히 지방의 하층 귀족들은 더욱 그러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몰락에 더해 18세기 말에 경제 침체가 악화되자 귀족들은 이른바 '봉건적 반동'을 일으켰습니다.

    세 번째 원인은 절대 군주제였다. 프랑스는 유럽의 대표적인 절대군주제 국가였다. 루이 14세가 확립한 절대군주제의 제도적 기반은 관료제와 상비군이었고, 사상적 기반은 왕권신수설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모두가 혁명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우선 관료제와 상비군의 유지에는 엄청난 비용이 필요했는데 그것은 재정을 악화시킨 주요한 원인이었습니다.

    18세기의 프랑스 정치사는 이런 재정 적자를 해결하려는 국왕과 그것에 저항하는 고등법원의 갈등의 역사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결국 국왕은 이 문제를 삼부회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는데, 그것이 바로 혁명을 일으킨 직접적 원인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