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호화로운꿀벌98
호화로운꿀벌98

지구공전주기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양이 변화할까요

간방기와 소빙기가 주기적으로 있었다고 들었는데 이는

공전주기 시 이산화탄소가

변화가 아닐까요

정말 간빙기로 인해 빙하가 녹고 해류가 멈추면 소빙하기가 생긴다고 하는데 걱정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홀쭉한가재292
      홀쭉한가재292

      간빙기와 빙하기는 지구의 공전주기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빙하기와 간빙기가 번갈아 온다는 말은 밀란코비치 이론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과학자들은 남극 등 여러 지역의 빙하코어를 분석해서 약 10만 년을 주기로 빙하기가 찾아온다고 했습니다. 밀란코비치는 이러한 현상이 지구 자전축 경사 방향의 변화(세차운동), 지구 자전축 경사각의 변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로 인해 일어난다고 했습니다. 3가지 변화는 각기 다른 주기를 갖지만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시기가 10만 년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은 최근 40만 년에 한해 적용될 수 있는 이론입니다. 중생대에는 빙하기가 한 번도 없었으며, 신생대 초기에만해도 중생대에 이어 현재보다 기온이 높은 상태가 수천만 년 지속되었습니다. 공전주기로 인해 이산화탄소 양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 위의 3가지 요인에 의해 기온 변화가 일어나고 그 결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양에 변화가 일어났고, 그 흔적이 빙하나 해양생물에 남아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공전 주기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양이 직접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산화탄소의 양은 지구 대기와 생태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는 자연적인 과정과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합니다. 자연적인 과정으로는 식물의 광합성, 호흡, 산란, 지구 내의 화산 활동 등이 포함됩니다. 인간의 활동으로는 화석 연료의 연소, 산업 활동, 산림 파괴 등이 포함됩니다.

      지구의 공전 주기는 1년입니다. 이는 계절의 변화를 유발하며,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그리고 해빛을 받아들이는 지구 표면의 변화를 조정합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양은 공전 주기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습니다. 이는 지구 대기와 생태계의 복잡한 상호작용, 인간의 활동, 그리고 다른 기후 요인에 따라 변화합니다.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는 산업화와 화석 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하고, 이는 기후 변화와 온실 효과를 증가시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빙기와 소빙기는 지구의 기후 변화와 관련된 용어입니다. 이 두 용어는 과거에 있었던 지구의 기후 변화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데요, 간빙기는 "빙하 기후"를 나타내며, 소빙기는 "빙하 후 기후"를 나타냅니다.

      간방기는 지구 기후의 한 주기로, 대략 수십만 년에서 수백만 년에 걸쳐 얼음이 녹아내렸다가 다시 얼음이 늘어나는 과정을 말합니다. 지구의 기후는 다양한 요인들의 조합에 의해 변화하며, 이산화탄소 농도도 그 중 하나입니다. 간방기가 오면 지구의 온도 상승과 함께 얼음이 녹아납니다.

      소빙기는 간방기 이후에 일어나는 기후 변화를 가리키는 용어로, 얼음이 다시 늘어나고 온도가 낮아지는 기간을 나타냅니다. 이 때 해류도 변화할 수 있으며, 이 변화가 기후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지구의 기후 변화는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 아래에서 발생하며, 이산화탄소의 변화도 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기후 변화는 지구의 역사 동안에도 자연적인 주기와 변동이 있었고, 현재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에 따라 환경 보호와 기후 변화 대응에 관한 노력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습니다.

    • 지구의 공전 주기는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공전 주기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양이 직접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산화탄소의 양은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주요한 영향 요소로는 인간 활동 (화석 연료 연소, 산림 벌채 등)와 자연 과정 (화산 활동, 해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인자들은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지구의 공전 주기와는 관련이 없지만, 인간 활동이나 자연 과정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후 변화와 대기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공전주기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양이 변화합니다. 지구는 공전주기에 따라 태양과의 거리가 달라집니다. 태양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구는 더 추워지고, 태양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지구는 더 따뜻해집니다. 지구의 온도가 변하면 식물의 광합성량이 변하고, 이로 인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양이 변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빙기와 소빙기는 관측된 기후 변화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지구의 공전 주기 변화인 밀란코비치 주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산화탄소의 변화는 기후 변화의 한 원인일 수는 있으나 지구의 공전 변화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에 집중하며,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에 참여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공전 주기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양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에 의해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증가하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