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왜 바다에는 민물고기가 살지 못하나요?

민물고기는 바다 환경에서 살지 못하죠. 강과 다르게 바다는 염분 농도가 높아서 그렇다고 알고 있는데, 염분 농도가 생물의 생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바다에 민물고기가 살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바다의 높은 염분 농도 때문입니다. 물의 염분 농도는 그 안에서 생활하는 생물들의 삼투압 조절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삼투압은 물의 이동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물은 일반적으로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려는 성질을 가집니다.
    삼투압은 용액의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세포 내외부의 농도 차이가 클 때, 물 분자는 더 높은 용질 농도를 향해 이동하여 농도를 균일하게 만들려 합니다. 이 과정에서 세포 내외의 물의 이동은 생물의 생리적 상태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민물고기는 일반적으로 체내의 염분 농도가 주변 물보다 높습니다. 민물 환경에서는 물이 물고기의 몸속으로 지속적으로 들어가려고 하며, 물고기는 이 과도한 물을 처리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소변을 많이 배출하고, 상대적으로 염분을 보존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절 메커니즘은 민물에서 생존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바다로 이동하게 되면, 민물고기는 주변 바닷물보다 낮은 체내 염분 농도 때문에 삼투압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높기 때문에, 물은 물고기의 몸에서 바다로 이동하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세포는 탈수 상태에 빠지게 되며, 필요한 물과 염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민물고기의 몸은 이러한 고염분 환경에서 필요한 만큼 빠르게 염분을 흡수하거나 물을 보존하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 민물고기는 체내 염분 농도가 낮아 바닷물에서 살 수 없습니다. 바닷물의 높은 염분 농도는 민물고기의 몸에서 수분을 빼앗아 탈수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민물고기는 담수에 익숙해져있어

    이에맞는 신체구조를 갖고있습니다.

    바다에가면 염분농도가 높기때문에

    삼투압현상에의해 물고기 체액이 바닷물로 빠져나갑니다.

    물고기는 탈수증상으로 죽게됩니다.

  • 말씀대로 민물고기는 바닷물의 높은 염분 농도 때문에 살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생물체 내외부의 삼투압 현상과 관련됩니다.

    민물고기의 체액 농도는 바깥의 민물보다 높습니다. 따라서 삼투압 현상에 의해 물이 끊임없이 체내로 들어오게 됩니다. 민물고기는 이 과잉의 물을 끊임없이 배출하기 위해 묽은 소변을 많이 보고 아가미를 통해 염분을 흡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민물고기를 바닷물에 넣으면, 체내의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고 탈수 현상이 일어나 죽게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바닷물고기의 체액 농도는 바닷물보다 낮습니다. 따라서 삼투압 현상에 의해 체내의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바닷물고기는 이러한 물 손실을 막기 위해 많은 양의 바닷물을 마시고 아가미를 통해 염분을 배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바닷물고기를 민물에 넣으면, 체내에 과도한 물이 유입되어 세포가 팽창하고 결국 파괴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염분 농도는 생물체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민물고기와 바닷물고기는 각자 서식 환경에 적응하여 체내 염분 농도를 조절하는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염분 농도를 가진 환경에서는 생존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바다에서 민물고기는 염분농도 차이때문에 살지못합니다.

    먼저 삼투압이라는 현상은 염분농도가 낮은곳에서 높은곳으로

    물이 이동하는현상인데, 민물고기의 체액 염분농도가 낮은편이기에

    바다로 민물고기가면 체액이 바깥으로 빠져나가는현상이 나타납니다.

    이 염분농도를 조절하기위해 물고기는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오래살지못합니다. 또한 염분중독에 빠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민물고기가 바다에서 살지 못하는 이유는 염분 농도에 따른 삼투압 차이 때문입니다. 민물고기의 몸은 담수 환경에 적응되어 있어, 바다처럼 염분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몸 안의 물이 빠져나가 탈수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는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높아 고농도 환경에서 저농도인 몸속의 물이 빠져나가려는 삼투 현상 때문입니다. 반대로, 바닷물고기는 이 염분 농도 차이를 조절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바다에서 생존이 가능하지만, 민물고기는 이러한 조절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바다에서는 생존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민물과 바다의 차이는 염분입니다. 민물고기는 바다에서 지속해서 삼투압 조절을 하여 살아가지 못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