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궁금하면 못참는 신기한 미키
궁금하면 못참는 신기한 미키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구름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 지는건가여!?

그리고 손으로 안잡히는 이유는 무엇때문에 그런가요!?대기권에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상승기류에 올라간 수증기들이 응축되며 생성되게 됩니다.

    손으로 잡히지 않는 것은 구름은 아주 미세한 얼음입자 또는 물입자의 집합체이기 때문입니다.

    높은 하늘에 있는 안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생성원리는

    먼저, 강이나 호수, 바다의 물의 태양에너지를 받아 증발한뒤 상승기류를 타고 공중으로 올라가게됩니다.

    이 수증기는 높은곳의 찬 공기와 만나 물방울이나 얼음결정이 되는데 이것이 우리눈에 하얀색 구름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 공기 대류와 더운 공기 대류가 만나서 생기는 것입니다. 더운공기내의 습기가 찬공기를 만나면서 입자화 되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성됩니다. 지표면의 수증기가 대기권으로 올라가면 낮아진 온도로 인해서 응결되기 시작하면서 물방울이 생성됩니다. 이게 구름인거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 수증기가 물로 변하는 현상을 응결 이고

    응결현상을통하여 먼지등 입자와 접하면서 응결됩니다.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만나면 공기는 상승하며 공기가 상승시 단열팽창 후 수증기들은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이 공기의 포화수증기량 감소후 상대습도가 상승합니다.​

    공기덩어리가 계속 상승 후 기온이 이슬점에 도달시 수증기가 응결되면 물방울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물방울이 새겨하늘에 떠 다니고 있는 구름이 됩니다.

  • 구름 입자의 크기는 매우 작습니다. 그래서 하늘 위에 떠다닐 수 있습니다.

    이 입자에 수증기가 조금씩 달라 붙게 됩니다.

    이것이 1mm 정도의 물방울이 되면 비가 내리는 구름이 만들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