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관련 질문입니다 아들이 심상실성 빈맥입니다 군대를 앞두고있어서 염려가 되네요
부정맥 관련 질문입니다 아들이 심상실성 빈맥입니다 군대를 앞두고있어서 염려가 되네요
요근래 잦은 빈맥으로 응급실에 실려가 처방 받았어요 군대에서 4급판정이 가능한 병명 일까요? 상세답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5급 가능성이 있습니다.
진료 보시고 판정유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본 게시판은 의학적인 질병과 관련된 상담을 하는 곳입니다. 그렇지만 질문자님께서 문의하신 병역판정검사 등급과 관련된 사항은 의료적인 내용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상담 및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상심실성 빈맥은 3급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현재 기준상 부전도로에 의한 상심실성 빈맥이나 심방세동이 심전도-24시간 심전도 또는 전기생리학적 검사에서 증명된 경우 이거나 이로인해 전극도자절세술 등을 시행한 경우라면 4급 또는 5급의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하지만 현재 정확한 진단명 및 치료경과등을 알수없고 증상의 유뮤에 따라 달라질수 있기 때문에 병무용진단서 및 의무기록지 사본(시술기록지 포함)등을 철저히 준비하시어 신체검사를 받아보실때 제출하시어 정확한 급수판정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하기 병무청 신체검사 급수판정 지침을 참고하시면 전극도자절제술에 실패한 경우에서만 5급이며, 이외 2~3급에 해당하는 질환으로 사료됩니다. 잦은 증상 발현 및 약물조절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 상급병원 심장내과에서 전극도자절제술을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52. 부정맥
주 : 심전도 또는 24시간 심전도에서 확인된 경우
나.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및 심방빈맥(심방세동, 조동은 제외) 1) 전기생리학적 검사에 의한 전극도자절제술에 의하여 치료 된 경우 - 2급(전시 1급)
2) 전기생리학적 검사 등 추가적 검사나 약물치료 없이 경과 관찰만 하고 있는 경우 - 3급(전시 2급)
3) 다음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
가)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요하는 경우 - 3급
나) 증상이 잦고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어 전극도자절제술 이 필요하나 전극도자절제술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여 실패한 경우 - 5급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면 많이 불편하실 듯 합니다. 약물 치료 내지는 시술(전극도자 절제술)을 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병력 평가 기준표를 참고해서 보면 현재 약물 치료 없이 증상이 있을 때마다 응급실을 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 경우에는 3급으로 나오네요.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어서 시술을 해야 되지만 못하는 경우에만 5급 판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일단 심장 내과에서 시술이 필요한 것은 아닌지 부터 확인을 해야 알 수 있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