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why
why

지구의 하늘색은 파랑인데 왜 우주에서 본 지구의 육지 색깔은 초록색인가요?

지구의 하늘의 색깔은 여러 기체 분자들이 빛을 산란해서 파란색으로 보이잖아요. 분자들은 빛을 모든 방향으로 산란시키니까 우주에서 봤을 때 지구는 파란색이어야 되는 거 아닌가요? 왜 바다는 파란색으로 보이는데 육지는 초록색으로 보이는 건가요? 아무리 육지에 자연이 많다고 해도 자연보다 높이 있는 하늘색으로 보여야 되는 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에 있을때에는 공기로부터 산란된 하늘빛을 볼 수 있지만, 우주에있을때에는 산란된 빛보다 지구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초록빛 또는 바다의 푸른빛이 더 강하기 때문에 하늘색이 잘 보이지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공기 분자에 의해 빛의 경로가 바뀌는 현상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파란색 영역대의 빛이 사방으로 튀다가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죠.

      우주에서 지구를 본다면 지구 내에서 나오는 빛에 대해 알아야합니다. 지구에서 우주로 방출되는 빛은 바다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 육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 구름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있습니다. 이때 지구의 지면에서 반사되어 우주로 나가는 빛 중 파란색 영역대의 빛은 대기중에서 산란과정을 거칩니다. 산란된 빛이 사방으로 튀다가 우주밖으로 나갈 수 있죠. 햇빛의 파란 빛이 공기중에서 산란되다가 우리눈에 들어온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정리하면 지구에서 반사된 빛 중 파란색 빛은 공기중에서 산란되다가 우주로 나가고, 붉은색 파장 영역대의 빛은 투과하여 우주로 나갑니다. 그래서 우주에서 지구를 볼때 파랗게 보이는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색을 볼 수 있는것이죠. (구름이나 바다에서 나오는 빛 또한 같은 원리로 우주로 나갑니다.)

      우주에서 지구의 대기층을 볼 수 있는데, 대기층은 푸르게 보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우주에서 본 지구의 육지 색깔이 초록색인 사진은 보정된 사진입니다.

      무보정 지구의 사진은 아래와 같이 어두칙칙한 색깔이며 전체적으로 회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