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10.15

족보의 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된걸까요?

우리나라는 족보라는 전통이 있어 조상들의 이름을 기록해서 후세까지 내려오는데요. 이런 문화는 어느시대부터 내려온 전통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족보의 문화는 중국의 한 나라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여러 가지 문헌에 따르면 후한 이후 중앙 또는 지방에서 대대로 고관을 배출하는 가문이 성립됨에 따라 문벌과 가풍을 중요시하는 사상이 높아져 이때부터 보학이 발달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족보의 시초는 중국입니다.

    제왕연표라는 황족의 혈통 계보 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개인이 족보를 가지게 된 것은 한나라때 현량과 제도를 통한 인재 선발에서 응시생의 가족 내력을 확인하는데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연려실기술에 따르면 한반도에 족보가 처음 건너온 것은 1562년 문화유보이나 전해지지 않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는 1472년 간행된 안동 권씨의 성화보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성씨는 삼국시대부터 왕족, 귀족층에서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전국 각 본관의 지방 세력가 이하 수준까지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것은 고려시대에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고 각 지역 호족세력이나 건국 과정에서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성씨와 본관을 하사하면서 부터이며 이들의 가문 계통 기록이 족보의 원형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족보는 우리 나라 전통적인 것이 아니라 중국에서 온 것 입니다. 중국의 6조六朝시대에 시작되었는데 이는 왕실의 계통을 기록, 개인의 족보를 갖는 것은 한漢나라 때 관직등용을 위한 현량과 제도를 만들어 과거 응시생의 내력과 조상의 업적 등을 기록한 것이 시초 입니다. 우리나라의 족보는 고려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으로 고려 의종 (18대, 1146~1170)때 김관의金寬毅가 지은 『왕대종록王代宗錄』이 처음 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성씨의 개념이 생겨났을 때부터로 볼 수 있으니 바로 신라시대때부터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