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신생아 출산 후 어느정도 힘든가요?
주변에서 출산하신 분들 말을 들어보면 100일의 기적이니 그런 말들이 있던데 보통 아이가 몇개월정도 지나면 육아가 편해지나요?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라도 편해지지는 않습니다. 뱃속에 있을 때가 좋다, 누워있을 때가 좋다 이런 말이 있잖아요:)
신생아 시기에는 수유와 유축 때문에 잠 잘 시간이 없다면 조금 자라면 떼쓰고 잠도 잘 안자고... 또 다른 어려움이 있어요.
출산 후 잠을 잘 못자서 힘든 건 빠르면 50일 이후, 100일 이후에 점점 좋아집니다.
아기를 키우면 정말 힘들어요. 잠도 못자고 내 모든걸 포기해야만 하지만 아기가 너무 예뻐요.
정말 힘들지만 아기가 너무 예뻐 하루 하루를 버팁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평균적으로 아이들이 생후 100일 정도가 지나야 통잠을 자기 때문에 100일부터 육아가 편해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는 아이의 기질이나
양육의 방식에 따라서 차이를 둘수있습니다
100일 이전에도 힘들어하지 않는사람이 있는반면 많이 힘들어하는사람도 있으니
케바케로 볼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는 끝나는 시간이 없습니다. 신생아의 경우 유아가 되는 경우
어린이가 되는 경우 그때그때마다 육아방식이 달라질 뿐입니다.
인내를 가지고 키우시다보면 스스로 육아스타일이 생겨 힘듬이 덜 해질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원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00일이 되어도 매우 많이 힘듭니다.
100일의 기적은 아기들마다 다릅니다. 물론 아기가 목을 가누게 되면서 수월해지는게 늘어갑니다. 상대적으로 그 힘듦이 힘들지 않은것처럼 느껴지지만 드라마틱한 극적인 반전을 기대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그래도 처음 신생아때보다는 편해지는게 조금씩 생겨나는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기질적으로 예민한 아이들은 돌이 될 때까지도 밤사이 수시로 깨는 경우도 많고
말씀하신대로 백일의 기적을 경험하는 가정들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는 편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아이가 성장을 하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이
가도 계속 힘들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부모라는 자리가 정말 어려운 것이며 보통 통잠을 자는 시기는
100일을 전후하여 이때부터 부모님들이 마음을 조금 놓으시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는 어렵다고 하지요.
쉬운 육아는 없습니다. 편안한 육아도 없지요.
매일 매일이 육아전쟁 입니다. 육아 전쟁에서 탈출할 수 있는 시기는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일을 알아서 하는 그 시기가 탈출 시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즉, 육아에서 편안해지는 시기는 아이가 초등학교 들어가면 그때 쯤 수월해 질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5개월정도 되서 밤사이 연속으로 5시간이상 자는때부터 수월해집니다
엄마아빠의 수면의 질이 큰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