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기민한벌새218
기민한벌새218

옛날 다이얼을 돌리는 전화기는 어떤 원리 인가요?

옛날 전화기를 보면 다이얼을 숫자마다 구멍이 있어서 손가락을 넣어서 돌렸는데요. 이것은 어떤 원리로 이렇게 해야 하는 건가요? 더군다나 가까운 번호는 조금돌리고, 멀리 있는 번호는 많이 돌리니까 일관적 이지도 않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다이얼을 돌리는 옛날 전화기는 펄스 다이얼 방식이라고 부르는 원리를 사용합니다. 다이얼을 돌리면 전화기 내부의 기계식 스위치가 회전하며 전류를 차단합니다. 다이얼이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회전한 횟수만큼 끊기는 펄스를 발생시켜 전선으로 신호를 보냅니다. 번호마다 펄스 횟수가 정해져 있어, 예를 들어 숫자 3을 돌리면 3번 펄스를 보내고, 숫자 9는 9번 펄스를 보냅니다. 이 방식으로 전화 교환기에 원하는 번호를 전송하는 구조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옛날 다이얼 전화기는 원형 다이얼을 돌릴 때마다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지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원하는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게 해주는 원리입니다. 다이얼을 돌리면 스프링이 감겨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면서 일련의 펄스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펄스의 횟수가 곧 전화번호의 숫자가 됩니다. 예를 들어, '5'를 돌리면 다이얼이 원상 복구되면서 다섯 번의 전기 접점이 끊어졌다가 이어져 5개의 펄스 신호를 송출합니다. 이는 교환기에 전달되어 해당 번호로 연결됩니다. 번호마다 돌리는 거리가 다른 이유는 각 숫자에 해당하는 펄스 수만큼 연락망에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다이얼 전화기는 0부터 9까지 적힌 원판 모양의 다이얼을 돌려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다이얼을 돌리면 내부 기계장치가 다이얼의 회전을 감지하고 선택된 숫자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원하는 번호의 전화번호와 연결이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다이얼은 구멍이 뚫려 있어서 손가락을 넣고 돌리면 회전하는 번호가 제자지리로 돌아 갈때 그 숫자를 감지하는 장치가 있고 그 장치가 전기적 신호를 보내면서 교환기에서 그 번호를 인식하고 최종적으로 원하는 전화번호로 연결해 주는 원리입니다. 이전에는 전기 수급이 안정적이지 못해서 신호를 특정해서 보내야해서 다이얼 판이 있는 전화기를 썻는데 전기 수급이 안정적으로 되면서 지속적으로 전기 공급이 되어서 번호 다이얼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