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23.09.02

최영과 이성계는 왜 사이가 멀어졌나요?

고려말에 최영은 후배무장인 이성계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이성계를 신뢰하였는데 이 둘이 관계가 악화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영이 이성계에게 보내는 편지 중에서 그 이유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성계가 명과의 전쟁을 반대하자 사이가 멀어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아래는 편지 내용입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우리가 이렇게 엇갈릴 줄은 꿈에도 몰랐네 그려. 명에 대한 입장 차이만큼 우리 사이도 멀어졌지.
    자네는 내 생각에 반대하며 불같이 화를 냈지만 사실 난 아직도 내 생각이 옳다고 생각하네.
    제아무리 명이 몽골을 몰아내고 세운 왕조라고 하지만, 과거 원의 소유였다며 철령 (현재 강원도 고산군과 회양군의 경계에 있는 고개) 이북의 땅을 내놓으라니 말이 되는 소린가? 지금 생각해도 피가 거꾸로 솟는군.
    그런데 자네는 전쟁을 치러서는 절대 안 된다고 주장했어. 결국 자네의 주장대로 되었지만 말이야.
    그 후 우리는 각자의 길을 갔고, 서먹한 사이가 되고 말았지. 지금 잘잘못을 따지는 게 아닐세. 편지를 쓰다 보니 옛날 생각에 감정이 격해져서 이런 저런 말이 나오게 되었군 그래. 가끔 안부 전해주게나.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영과 우왕은 요동정벌을 추진, 이성계는 명분과 시기 모두 적합하지 않다며 정벌불가론을 들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성계가 내세운 ‘정벌불가론’을 막고

    우왕이 내가 요동을 정벌하고자 하니

    그대들은 모든 힘을 다 쏟아진격하라는 것을

    최영이 따랐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최영과 이성계는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장으로, 함께 왜구를 물리치고 고려를 지키는 데 공헌했습니다. 그러나 두 사람의 사이는 점차 멀어지게 되었고, 결국 이성계의 조선 건국으로 인해 최영은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최영과 이성계의 사이가 멀어지게 된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치적 야심의 차이

    최영은 고려의 충신으로, 고려를 지키는 데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쳤습니다. 반면, 이성계는 고려의 개혁을 꿈꾸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의 정치적 야심은 점차 갈등을 빚게 되었고, 결국 서로를 적으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권력 투쟁

    최영과 이성계는 모두 고려의 최고위 무장으로, 군권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의 권력 투쟁은 고려 사회를 혼란에 빠뜨렸고, 결국 고려의 멸망을 앞당기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갈등

    최영과 이성계는 개인적인 갈등도 있었습니다. 최영은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을 탐탁지 않게 여겼고, 이성계는 최영의 장남 최우를 경계했습니다. 이러한 개인적인 갈등은 두 사람의 사이를 더욱 악화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최영과 이성계의 사이는 점차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결국, 이성계의 조선 건국으로 인해 최영은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최영과 이성계의 갈등은 고려 말기의 정치적 혼란과 붕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두 사람의 갈등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민왕의 죽음과 조선 건국으로 이어졌으며, 고려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