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누전차단기 드라이브단에 배선 반대로 연결

이거해서 동작했다는게 무슨의미인가요? 차단기 안내려가고 잘되던데 전자제품중 하나의 문제로 봐야할까요? 전기 잘아시는분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강세훈 전문가
    강세훈 전문가
    한국폴리텍1대학 전기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배선을 반대로 연결하면 선이 2가닥이 콘센트로 가는데, 단선이 되고 있는 상태이거나, 쇼트 상황을 선을 바꿔치기 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조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바꾸어도 절연저항을 재보면 아직도 정상 상태는 아닐 것입니다.

    올바른 시공방법은 아니라고 볼 수 있으며, 가장 확실한 것은 고장지점을 찾아서 재입선을 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누전차단기의 드라이브 단에 배선을 반대로 연결했는데도 정상적으로 동작했다면 해당 차단기가 전류 방향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모델일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일부 전자제품은 전원 입력의 위상 차이에 민감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누전차단기 드라이브단에 배선을 반대로 연결 하여, 차단기가 안내려가고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위험한 조치입니다. 관련 조치는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지 않아 누전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감전이나

    화재 위험 발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가 내려가는 흔한 원인들은 주로 전자제품 누전이나

    고장과 과부하로 인하여 내려갑니다. 이 외에도 전선의 손상이나 습기나 물에 의한 누전으로도 발생합니다.

    누전차단기 배선을 반대로 연결한 것은 임시적인 방편일 뿐,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여 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누전차단기의 드라이브단에 배선을 반대로 연결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작한다는 상황은 일반적으로 차단기의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누전차단기는 전원과 부하 측 연결 방향이 정해져 있지 않지만, 일부 경우에는 특정 방향으로 연결해야 제대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배선을 거꾸로 연결함으로써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문제없이 작동한다고 해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전자제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배선을 올바르게 재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선이 잘못 연결된 상태로 계속 사용하면 차단기가 제대로 보호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배선이 반대로 연결되었을 때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고 전자제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은 전기적으로 위험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전자제품이나 전기회로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가에게 점검을 받고 올바르게 배선이 정렬 되어있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