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자동차

⠀ GM ⠀
⠀ GM ⠀

자동차의 유리는 왜 투명한가요?

저는 어릴 때부터 자동차를 타고 어디를 간다면 바깥 풍경을 본다고 자거나 졸고나 한적이 없을 정도로 바깥풍경을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그렇다 보니 지나가는 차들도 보고 그러는데, 자동차를 보면 보통 유리가 투명하다보니 정지신호가 있거나 속도가 비슷한 경우에는 다른 차에 타고 있는 탑승자와 눈이 마주쳐 뻘줌한 경우가 자주 있는데요. 유리를 안에서만 밖을 볼 수 있는게는 할 수 없는 건가요. 운전자가 아닌 경우에는 유리가 투명하지 않아도 될 것같은데, 왜 자동차의 유리는 투명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흐드러지게핀꽃밭146입니다.

      유리를 안에서만 밖을 볼 수 있게 할 수 있는 게 썬팅입니다.

      자동차썬팅은 들어보셨겠죠

    • 안녕하세요. 비장한집게벌레151입니다.

      당연히 시야 확보가 우선이 되어야 하는 운전이기 때문이죠ㅎㅎ그리고 밖에서도 내부가 보여야 커뮤니케이션이 되니까 쌍방으로 보이는 편이 좋죠

    • 안녕하세요. 푸른물풀46입니다.

      차량의 밖에서 안을 보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따로 시공을 하시면 가능하구요.

      차량의 유리가 투명한 이유는 아무래도 시야확보 때문이죠.

      운전을 할 때 시야가 확보되어야 사고의 위험성이 줄어들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자동차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시야확보가되어야 운전에 필요한 시각정보를 얻을수 있기때문이며 선팅의 정도는 개개인별로 다르기때문에 초기에 투명한상태로 출고됩니다.

    • 안녕하세요. 얌전한말75입니다.밖에서는 안이 안보이고 안에서는 밖이 보이게 할 수있습니다 자동차 유리 선팅이나 틴팅업체에 가서 필름을 붙이면 됩니다

    • 검은색이면 시야가 확보되지않아사고가나기때문입니다.

      시야확보가 운전ㅇ의 기본요소입니다



      안녕하세요. 즐거운북극곰228입니다.

    •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앞차의 전방 상황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앞 차가 브레이크를 뱗았는데, 이것이 급한 상황인지 아니면 속도를 잠시 줄이기 위한 행동인지를 파악하려면 앞차의 잔방상황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법률로 자동차 유리의 투명도에 대한 규제가 있습니다. 투명하지 않으면 그만큼 위험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