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영수증을 만져서 병이 난 사례가 있나요?
제가 마트 등 상점에서 물건을 사면 영수증을 꼬박꼬박 받아오는 편입니다. 그런데 연일 TV에서 마트 영수증을 만지면 몇 초 사이에도 몸 속에 환경 호르몬이 들어온다고 해롭다는 내용을 방송하더라구요. 그렇게 마트 영수증이 만져도 해로우면 영수증에 인쇄되는 방식을 개선하든지 영수증을 못하게 해야 하지 않나요? 그리고 마트 영수증 오래 만졌다고 예를 들어 마트 점원이라든지 다른 분들이 어떤 병을 얻었다는 말을 듣지 못했는데 과학적으로 어떤게 진실인가요?
안녕하세요.
마트 영수증은 열전사 용지(thermal paper)로 인쇄되는데, 이 용지에는 종종 비스페놀 A(BPA)나 비스페로 S(BPS)와 같은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화학물질들은 환경호르몬으로 분류되며, 내분비계를 교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영수증을 맨손으로 만지는 것만으로도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BPA)의 체내 농도가 2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데요 제지업계에서는 "국내 제조사의 영수증 종이에는 해당 성분이 들어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제지업계에 따르면 시중 영수증 종이(감열지)에서 BPA가 심심찮게 검출되고 있는데요, 이는 BPA성분이 들어있는 중국산 감열지가 인터넷 직거래를 통해 확대되면서 여과 없이 유통되고 있어서 입니다. 즉 국내에서는 BPA를 넣은 제품 생산을 하지 않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감열지 생산 기업인 한솔제지는 2019년부터 이미 BPA를 넣은 제품 생산을 중단했습니다. 국내 생산 영수증 종이에는 뒷면에 ‘BPA Free(없는) 감열지’라는 안내문구를 명시하고 있으며, 프랜차이즈나 대형마트 등은 대부분 BPA 없는 제품으로 전환해 사용하고 있으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마트 영수증이 오래 만졌다고 해서 질병을 전파한다는 주장도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질병은 주로 바이러스, 세균 또는 기타 병원체로 인해 전파되며, 마트 영수증은 질병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영수증을 만져서 병이 난 사례는 드뭅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환경호르몬은 '비스페놀A’라는 화학물질이며 이 화학물질은 호르몬 의존성 암을 유발할 수 있고, 손을 통해서도 몸속으로 침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나오는 영수증은 '비스페놀A’를 포함하지 않고 있어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환경호르몬 때문입니다. 영수증에는 비스페놀 A라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맨손으로 만지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노출 및 흡수가 되었을 때, 당뇨, 심장병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마트 영수증에 사용되는 감열지에는 비스페놀 A (BPA)와 같은 환경 호르몬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피부 접촉 시 체내로 흡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마트 영수증을 만져서 직접적으로 특정 질병이 발생했다는 과학적 근거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장기간 고농도의 BPA에 노출될 경우 내분비계 교란, 생식기능 저하 등의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예방 차원에서 영수증을 장시간 만지지 않거나, 만진 후에는 손을 씻는 것이 권장됩니다. 또한 일부 국가와 기업에서는 BPA 무함유 감열지를 사용하거나 전자 영수증으로 대체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영수증 노출로 인한 건강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며, 현재로서는 과도한 불안보다는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마트 영수증이 유해성 논란을 가지게 된 것은 비스페놀A 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비스페놀A는 분자구조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해서 체내에서 호르몬 작용에 교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인체에 들어간 비스페놀 A는 에스트로겐의 작용에 혼란을 주기 때문에 에스트로겐이 조절하는 몸의 여러가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비스페놀A는 실제로 유해하지만, 일상에서 노출되는 양이 몸에 영향을 줄 만큼의 양인지는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호르몬 교란물질(내분비계장애물질)은 증상이 나타나는데 오랜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확인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영향을 주는 양에대한 논란은 있지만 어찌되었든 호르몬에 교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대부분 비스페놀A 없는 영수증을 만들고는 있지만 100%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