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

개원의 치를 훌륭한 통치의 예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당나라 현종의 치세를 개원의 치라고 부르며 훌륭한 황제의 통치 예로 보고 있습니다. 개원의 치를 훌륭한 통치의 예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당 현종은 사찰과 승려의 수를 줄이고, 권력가들을 제압하는 한편, 조정을

      정비하여 상벌을 엄정히 나누어 주어서 중종 이현 이후 혼란스러웠던

      정치 상황을 안정시켰음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나라 현종때는 내적으로는 인구가 증가하고(5000만명 이상) 생산량이 늘어 풍요로운 시대를 맞이했으며, 외적으로는 절도사직책 신설과 모병제등으로 인해 군사력강화와 이민족 지배력 강화라는 성과를 냈다고 하지요. 이는 돌궐 같은 북서방 외세 들의 권력 암투 등으로 인해 그들의 힘이 약해진 운도 한몫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개원의치 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원의 치는 중국 당나라의 6대 황제 현종이 다스렸던 713~741년의 29년 간의 통치 시기로서, 문화, 경제 및 교역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융성했던 시기를 말합니다.

      현종은 당 고종의 부인이며 자신의 조모였던 측전무후 이후의 혼란스러웠던 정치 상황을 평정하고, 5대 황제 예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등극하였다. 그는 요숭(姚嵩), 한휴(韓休), 송경(宋璟) 등 현명한 재상들을 등용하고 그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애민정치에 큰 뜻을 두어 선정을 베풀었다. 환관과 인척의 정치 참여를 막음으로써 정치 안정을 꾀하였고, 인재를 널리 등용하였다. 또한 조정을 정비하여 상벌을 엄정히 함으로써 율령 체제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호구가 증가하고 농업생산력이 증대되었으며, 군사력의 증강에도 힘을 기울여 외세의 침입에 대응하는 한편, 외국과의 교류를 활발히 함으로써 수도인 장안은 국제도시로서도 융성하게 되었다. 또한, 이백, 두보, 왕유 등의 유수한 작가들이 배출되는 등 문화적으로도 번성한 시기이다. 이러한 태평성대를 당 태종의 '정관(貞觀)의 치(治)'와 비견될 만하다하여 '개원의 치'라 이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원의 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