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건장한군함조163
건장한군함조163

퇴직후에 연금으로 300만원정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

퇴직후에 특별히 일을 하고 싶진않아서, 지금부터라도 어떻게 연금설계를 하면 62세 퇴직후부터 안정적으로 최소 월 300만원정도 연금처럼 수령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펀드 및 IRP

      사학연금 또는 공무원연금 또는 국민연금

      주택연금

      위와같은 연금 등을 토대로 자산계획을 하셔서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및 IRP를 통하여 투자를 하셔서 수익율을 극대화 하고

      국민연금에 가입하였을 경우 추납제도 활용 및 수령을 이연하시고

      주택연금 등도 고려하셔보시길 바랍니다.

    • 본인의 월 연금소득을 300만원정도로 잡으시면 본인의 현나이와 가입한 연금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셔야합니다. 개인연금는 물론 국민연금등을 가입년수등으로 나누어 계산을 해보시길바랍니다.국민연금등은 해당홈페이지에 예상수령금이 있으며 개인연금또한 받을수 있는 금액을 예상할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살고 있는 집을 담보로 맡기고 받는 주택연금을 활용할지 따져 봐야 합니다. 집값이 공시가격 기준으로 9억원이 넘지 않으면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5억원 주택의 경우 70세는 주택연금으로 월 150만원쯤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부족한 자금은 퇴직 전에 개인연금 등 금융상품을 활용해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부부 연금 생활 기간 이전엔 소득 공백 기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퇴직한 직후입니다. 이때는 퇴직금을 연금으로 바꿔서 받는 방법을 우선 고려합니다. 퇴직금을 IRP(개인형 퇴직연금)에 넣어서 연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을 미리 당겨서 받을 수도 있는데, 정상적으로 받을 때보다 연 6%씩 감액되는 걸 각오해야 합니다. 부부 중 연장자가 55세부터 받을 수 있는 주택연금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