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에게 명절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는 방법 있나요?

이번에 맞이하는 명절은 꽤 깁니다. 그래서 아이에게 명절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고 싶은데요~어떻게 하면 아이가 명절 분위기를 느끼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명절 분위기를 느끼게 하려면 우선 한복을 차려 입는 것부터 시작하여 송편을 직접 빚어서 만들거나 윷놀이, 제기차기 같은 명절에 하는 놀이를 같이 해보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보통 아이들에게 명절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전통 음식 만들기 : 가족과 함께 송편, 전, 산적 등 전통 음식을 만들어 보세요. 요리 과정을 함께하면서 아이들은 명절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만든 음식을 먹으면서 이야기도 나누고 추억을 쌓을 수도 있습니다.

    한복 입기 : 명절에는 한복을 입고 가족과 함께 사진을 찍어보세요. 아이들은 한복을 입는 것을 좋아하며, 이를 통해 명절 분위기를 더욱 느낄 수 있습니다.

    민속놀이 체험 : 윷놀이나 제기차기, 딱지치기 등 민속놀이를 하면서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세요. 아이들은 이러한 놀이를 통해 명절의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 가족 간의 유대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성묘 가기 : 만약 묘지가 근처에 있다면, 아이들과 함께 성묘를 가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성묘를 가면서 자연을 감상하고 조상님들의 업적을 이야기해주면 아이들은 명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가족 여행 : 명절 기간 동안 가족과 함께 여행을 떠나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국내나 해외 어디든지 상관없이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를 찾아서 연휴를 즐기세요...~!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아이들은 명절 분위기를 느끼고 가족과의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사랑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고 함께 즐기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가족끼리 모여서 전통음식을 만들어 보세요

    송평, 떡, 한과, 전을 만들면서 가족끼리 담소를 나눕니다.

    그리고 가족끼리 윷놀이나 제기차기를 하면서 재밋는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명절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기 위해서는 먼저 명절에 맞는 복장을 갖추고 전통놀이나 문화등을 즐기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명절 느낌을 느끼게 해주시려고 한다면 먼저 어떤 느낌을 말씀하시는것인지가 중요하겠습니다. 예전처럼을 전을 부치고 제사를 지내는 분위기를 보여주시려면 아이들에게 말그대로 전을 부쳐 먹는게 좋겠습니다. 예전에는 이렇게 전을 부치면서 다양한 이야기도 하고 시간을 보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윷놀이와 같이 아이들 함께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분위기를 내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모두 참석 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간단합니다. 평소에 만나지 못했던 일과 친척들을 만나 뵙고 인사드리고 즐거운 담소를 나누다 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명절 분위기에 젖어들게 될 겁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송편빚기나 전부치기 같은 활동을 하면서 명절에 대한 의미를 설명해 주거나 윷놀이나 제기차기, 공기놀이 투호놀이 같은 전통놀이를 함께 하면서 명절의 즐거움을 느낄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또한 전통 의상인 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거나 연이나 죽방울을 만들어서 아이들과 함께 놀이를 해보셔도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명절 분위기를 느끼기 위해서 다양한 전통 음식을 먹는 것, 그리고 전통 놀이(연 날리기, 윷놀이, 제기차기 등)를 하는 것이 있겠으며 추석과 관련된 옛 풍습을 소개해거나 배경을 설명해주면 더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