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매운것을 먹으면 얼굴에 땀이 송글송글 나오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어제 제가 매운 라면을 먹었는데요..

집에 에어컨도 틀어놓은 상태였는데 매운 라면을 먹으니 얼굴에 땀이 송글송글 났거든요..

매운것을 먹는다고 왜 땀이 나는 것일까요??

운동을 한것도 아닌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얼굴에 땀이 나는 현상은 매운 성분이 우리 몸의 체온 조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캡사이신은 혀와 입 안의 열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체가 열을 느끼는 것처럼 감지하게 만듭니다. 이것은 신체가 실제로 더워진 것은 아니지만, 신체가 더운 것으로 착각하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인간은 땀샘이 고도로 잘 발달한 동물로, 강아지나 고양이 등 동물에 비해 체온 조절기능이 아주 탁월합니다. 매운 것을 먹게되면 이는 통증으로 인식되어 체내에서 방어기제가 발동됩니다. 이 때, 경미한 혈관확장이나 염증세포이주 등으로 인해 체온이 약간 올라가게 되는데, 올라간 체온을 정상적으로 원래 체온으로 낮추기 위해 땀을 흘리게 하고, 이 땀이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해가기 위함입니다.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느끼는 매운맛은 미각이 아닌 혀가 느끼는 통각입니다. 매운맛은 뇌에서 통각과 열감으로 느끼게 되고 이를 세포손상으로 인식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동시에 체온을 내리기 위해 땀을 배출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매운 것을 먹으면 땀이 흐르는것은

    매운음식에 들어있는 캡사이신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매운 맛은 보통 음식에 들어있는 캡사이신에 의해 느껴집니다.

    캡사이신은 TRPV1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데, 이 수용체는 열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수용체입니다.

    그래서 매운 음식은 뇌가 입과 장의 온도가 올라갔다고 판단하게 합니다.

    그래서 체온을 낮추기위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며,

    혈관이 확장되고 땀샘도 활성화되며 땀이 방출되게 됩니다.

  • 매운 음식을 먹으면 땀이 나오는 이유는 신체가 매운 맛에 대한 반응으로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땀을 분비하기 때문입니다. 매운 음식에 포함된 화학 물질인 캡사이신은 신체에 영향을 주어 혈액 순환이 증가하고 체온이 상승합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입 안과 소화기관에서 캡사이신이 인식되고, 이 신호가 뇌로 전달됩니다. 뇌는 매운 맛을 체온 상승으로 인식하고,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땀을 분비합니다. 땀이 증가하면서 피부 표면으로 나오면서 열이 증발되고, 이 과정에서 몸의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신경을 자극하여 체온을 올리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킵니다. 이로 인해 체온이 상승하고 혈액순환이 활발해지면서 땀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땀이 나오면서 체온을 조절하고 체내 독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매운 음식을 먹으면 땀이 송글송글 나오는 현상은 체내의 반응 메커니즘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매운 음식에는 캡사이신 성분이 있습니다. 캡사이신을 먹으면 우리 몸은 이를 통증으로 인식하여 혈류량이 늘어나게 되고 땀이 나게 되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 매운 음식을 먹으면 땀이 나는 현상은 '구스타토리 발한(gustatory sweating)'이라고 불립니다. 매운 음식에 함유된 캡사이신이라는 성분이 우리 몸의 통증 수용체를 자극하면, 뇌가 이를 위험 신호로 인식하여 체온을 낮추려는 반응으로 땀을 분비하게 됩니다. 이는 우리 몸의 자연스러운 방어 기제로, 실제로 체온이 올라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뇌가 체온 조절을 위해 땀을 내보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매운 음식을 먹었을 때 땀이 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음식의 단맛, 쓴맛, 짠맛, 신맛은 혀의 미각 세포에서 감지를 하지만, 매운맛은 특이하게 통각 세포가 감지합니다. 매운맛을 내는 대표적인 성분이 캡사이신인데, 캡사이신을 먹으면 우리 몸은 이를 통증이라고 인식합니다. 통증을 감지하는 신경 수용체가 자극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혈류량이 늘고 땀이 나는 것입니다. 즉, 캡사이신을 먹으면 뇌는 캡사이신이 우리 몸의 세포를 손상시켜 통증을 유발한 것이라고 보고 혈액순환이 빨라지게 되며, 그러면서 피부 온도가 올라가고 땀이 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