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기침, 가래, 호흡곤란 장기간 지속 되고 있습니다
몇 년 전 부터 기침, 가래 , 호흡곤란 증상이 있었고,
자주 두통도 생기고 만성 피로감이 있습니다
몇 달 전에 천식검사 했었는데 천식은 아니라고 하네요
병명이 무엇인가요? 전문가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만성기침과 호흡곤란등이 생겼다면 독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환경에 있었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렸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선별검사소에서 검사를 받아보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증상 자체만으로는 특별한 질환 하나가 아닌 다양한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생활습관에서부터 흡연을 한다면 담배에 의한 영향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현재 증상이 계속 된다면 건강검진을 한번 받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만성 기침의 주요 원인들로는 상기도 기침 증후군, 천식, 위식도 역류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만성기침의 80~90%를 차지합니다.
특히 흉부 X-레이가 정상이며, 흡연을 하지 않고, 고혈압약 등의 원인 약제를 복용하지 않는 성인의 만성기침은 거의 대부분이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다른 원인으로는 폐결핵, 폐암 등의 종양도 만성 기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기침이 만성적으로 있는 경우 감기라고만 생각하지 말고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원인이 다양한 만큼 치료도 다양합니다. 내과에서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두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스트레스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 스트레스성 두통이외에도, 뇌종양등의 질환에 의한 두통도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신경과, 가정의학과 등)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해보셔야합니다.
두통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두통이 스트레스성 이신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단은 진통제를 복용하고, 생활습관을 교정해보셔야합니다.
규칙적인 수면습관
일정이상의 수면시간 확보
과로를 피하기
금연하기
등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기관지 확장증은 흡연으로 인한 기관지 손상으로 기관지가 늘어나면서 확장된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인의 기관지에는 병균이 살지 않는 무균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나 기관지 확장증 환자의 기관지에는 배출되지 않은 가래에 각종 세균이 감염되어 있으므로 누런 가래를 매일 뱉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세균 감염이 계속되면 기관지 확장이 계속되어 결국 기관지 주위에 있는 폐가 파괴되어 폐 기능이 저하된다는 점입니다. 또 기관지가 너무 확장되면 가래의 생산과 배출도 크게 증가되어 계속 뱉어내야 되며, 혈관까지 침범하여 각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기침 가래 호흡곤란 증상이 있고 두통 피로감 있어 문의 주셨습니다.
단순히 증상만으로는 병명을 특정짓기 어렵습니다.
호흡기계 검사를 진행하여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걱정되고 궁금하시다면 가까운 호흡기내과 내원하여 검사 진행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천식은 아니라고 하면 증상만으로는 만성 기관지염과 같은 만성 폐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천식 검사 이외에 흉부 X-ray 또는 CT로 폐의 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도 정확한 진단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요. 저희도 증상만으로는 병명을 찾기는 어렵답니다. 추가적인 검사를 해보고 하나씩 원인을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할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호흡기내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