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고도가 높은 수록 왜 추워질까요?
안녕하세요 등산을 너무 좋아해서 높은 곳도 가고 막 그러거든요 근데 높은 곳에만 가면 너무나 추워 미칠 거 같은데요 해발 고도가 높은 수록 왜 추워질까요? 궁금합니당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대기의 온도가 1000m 올라갈 때마다 약 6.5°C씩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에서 기압의 역할은 공기를 압축하고 열을 가두는 것입니다. 대기권이 높아질수록 기압이 떨어지고 압축력이 떨어져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고도에 따른 냉각에 기여하는 또 다른 요인은 대기 밀도의 감소입니다.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더 적은 열을 흡수하고 유지하게 되면서 더 낮은 온도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 두 요인(압력과 밀도 감소)의 조합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권(0~11km)은 지열이 태양에너지의 기여도 보다 강해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떨어집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대류현상 및 기상현상이 일어나죠.
대류권(11km 이하)이하에서는 고도가 높아지면 추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높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나오는 지표 복사에너지가
현재의 고도에 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 열에너지가 부족하여 온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지구 복사열의 영향을 덜받기 때문입니다.
태양열이 지표를 달구어 뜨거워진 지표는 열을 발산하여 우주로 내보내게 됩니다.
이때 온실가스에의해 일부는 우주로나가고 일부는 다시 반사되어 지표로ㅈ내려가게 됩니다.
이 복사열은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점점 식으면서 올라가므로 고도가 높을 수록 대기의 온도가 내려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는
태양으로부터 도달한 태양에너지가 지표면을 가열하고
가열되어 나온 복사열이 고도가 높은지역에는 닿기 어렵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