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이 희고 검은 차이는 왜 나는걸까요?
맑을때는 구름이 희고, 흐릴때는 구름이 어둡네요. 왜 희고 어둡고하는 차이가 생기는 걸까요? 수분함량 혹은 빛반사의 차이일까요?
안녕하세요. 권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이 모여서 대기중에 떠 있는 것으로 각 구름의 형태에 따라서 내부 입자의 크기가 다릅니다. 그리고 색상이 보이는 주된 이유는 햇빛에 있는 가시광선이 반사되면서 보라, 파랑, 노랑의 순서대로 색상이 보여지게 되는데(전문용어로 산란이라고 합니다) 하늘의 경우에는 대기 중 산소와 질소에 의해 반사되어 파란색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구름은 내부 물방울 크기들이 공기분자보다 크기 때문에 하늘에 비해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내 모든 색깔이 합쳐져 흰색을 띠게 욉니다. 그러나 먹구름의 경우에는 보통 구름과 다릅니다. 먹구름 내부에는 일반 구름 보다 더 큰 물분자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빛을 반사시킨다기 보다는 흡수하게 되어 색상이 검게 보이게 됩니다. 즉, 물방울 크기가 크고 두꺼울수록 사람의 눈에는 검은색으로 보이게 되는 원리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자동차 배기가스가 때때로 검은색이 되는 경우도 위와 같습니다. 배기가스에 나오는 오염물질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평소와는 다른 색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곧 비가 내릴 먹구름이 검은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커지게 됩니다.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으니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안녕하세요.
구름은 두터울수록 많은 태양의 복사열을 흡수해서 아래부분이 어두어집니다. 이 때문에 검은 구름과 힌구름 색이 다르죠~
또, 검은구름속에 많은 양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어 비가내릴 확률이 크며 낮게 형성되죠, 흰구름은 수증기가 많이 포함되지 않아 비가내릴 확률이 적고 높게 떠있는게 보통이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흰색은 수증기의 색깔과 마찬가지로 흰색을띱니다.
왜냐하면, 물방울 알갱이가 너무작아 굴절과 산란이 많이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검은색은 구름이 두껍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