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자신있는 포로리
자신있는 포로리23.03.01

과탄산소다로 묵은때를 지우른건 무슨 원리인가요?

주방에서 묵은때를 벗기거나 탄냄비를 닦을때 과탄산소다를 뜨거운물에 풀어서 사용하는데요

이게 과학적으로 무슨 반응이일어나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탄산소다에 함유된 탄산나트륨은 센물을 단물로 바꾸어 세제 찌꺼기가 생기지 않게 하고,


    과산화수소는 세탁 시 옷에 묻은 이물질을 산화하여 본래의 색을 되찾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탄산소다는 알칼리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묵은 것을 녹이고 분해할 수 있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때, 묵은 것에 포함된 지방과 단백질 성분을 과탄산소다가 분해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탄산소다는 화학식이 Na2CO3으로, 이는 알칼리성 화합물입니다. 따라서 뜨거운 물에 과탄산소다를 풀어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화학반응이 일어납니다.

    1. 과탄산소다 분해 과탄산소다는 뜨거운 물과 반응하여 탄산수소 이온(HCO3-)과 탄산 이온(CO3--)으로 분해됩니다.Na2CO3 + H2O -> 2Na+ + CO3-- + H2O

    2. 알칼리성 물질로서 작용 분해된 탄산수소 이온과 탄산 이온은 모두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묵은 때나 탄 냄비에 묻은 잔류물과 반응하여 수소 이온(H+)과 결합하면서 이를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과탄산소다를 뜨거운 물에 풀어 사용하면, 묵은 때나 탄 냄비에 묻은 잔류물을 중화시켜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1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탄산소다는 염기성 물질로서, 물과 반응하여 탄산수와 염기를 생성합니다. 이 염기는 오물과 같은 지방성 물질과 결합하여 이온화되고, 지우개와 같이 오물을 떼어냅니다. 이런 이유로 과탄산소다는 청소제나 오븐 세척제 등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 과탄산소다는 풀어지면 탄산가스와 탄산염으로 분해됩니다. 이 반응은 열역학적으로 유리하며, 물과 함께 반응할 때 열이 방출됩니다. 뜨거운 물에 과탄산소다를 넣으면, 열이 추가로 생성되면서 과탄산소다가 빠르게 녹아들어갑니다.

    이러한 반응으로 인해 과탄산소다는 주방에서 묵은 물건들을 청소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과탄산소다는 염기성 성질을 가지므로, 물에 녹은 후에는 물의 pH를 약간 높여주면서 산성 물질을 제거합니다. 또한, 과탄산소다는 세정력이 강하므로, 유기물이나 기름짐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물이 뜨거울수록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탄산소다는 강한 염기성을 가지므로 너무 많이 사용하거나 농도가 높은 용액을 사용할 경우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탄산소다를 물에 녹이면 탄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로 분해됩니다.

    과산화수소는 다시 산소원자 하나를 가져가 산소를 발생시킵니다.

    2Na2CO3·3H2O2 → 2Na2CO3 + 3H2O2 → 2Na2CO3 + 3H2O + 3O

    위와 같은 화학식으로 반응합니다.

    이 때 발생한 산소가 냄비의 탄 부분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