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베레스트산 정상에 플라스틱 쓰레기는 어떻게 있을수 있는건가요?
에베레스트 정상 플라스틱 쓰레기는 버려서 있는게 아니라고 들었는데요.
바다나 땅에 있던 플라스틱이 에베레스트산 정상으로 어떻게 올라갈수있는지 대기의 순환과정에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을 모아서 옮긴 것이 아닌 등산객에 의해서 처치 곤란으로 쌓여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오히려 높은 산 정상과 기후로 인해 쓰레기 처리가 곤란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순환으로 올라가는것이 아니고 등산객에 의한 쓰레기라고 합니다. 어렵게 올라가서 쓰레기를 회수하기 어려워서 버리고 오는데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가 야기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에베레스트의 정상에 쓰레기들은 등산가들이 올라가서 버린 쓰레기와 등산하다가 휴식을 하는 곳에서 텐트등이 버려져서 그렇게 쌓였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에베레스트 위의 쓰레기들은 등산 중 짐을 줄이기위해 버리는 행위에의해 발생한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에베레스트산 정상에는 버려진 텐트, 산소통, 그릇 등 수 많은 쓰레기가 버려져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이 아닌 일반 쓰레기가 바람에 의해 올라가긴 힘들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에베레스트산이 지각 활동을 통해서 만들어질 당시에는 플라스틱이 없었기 때문에 직업 활동으로 플라스틱이 에베레스트산에 올라갈 때 가능성은 없습니다.
에베레스트를 등장할 때 사람들이 남긴 플라스틱이 에베레스트에 남아서 보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연구진은 또 낮은 고도에 있던 미세 플라스틱이 강한 바람을 타고 더 높은 지점까지 올라갔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진은 "등반객이 늘면서 에베레스트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이고 있다"면서 "에베레스트와 같은 오지를 탐험하면서 미세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환경적 책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라고 권고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에베레스트 정상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에베레스트 정상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기 때문에 등반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등반하는 사람들은 긴 여정 동안 필요한 물과 음식을 가지고 가기 때문에 플라스틱 용기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 용기들은 등반 도중 버리게 되는데 이는 등반자들이 쓰레기를 적절히 처리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에베레스트 정상은 극도로 추운 환경이기 때문에 등반자들은 플라스틱 용기를 재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버리는 것이 더 편리하고 쉬운 선택이 됩니다. 그리고 고도가 높아서 쓰레기를 태우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쓰레기를 버리는 습관이 생겨납니다.
셋째 에베레스트 정상에는 쓰레기를 수거하고 처리하는 시설이 없습니다. 따라서 등반자들은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유일한 선택이 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에베레스트 정상에 쓰레기를 수거하고 처리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등 환경 보호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등반자들에게 쓰레기를 적절히 처리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교육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에베레스트 정상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 모두가 쓰레기를 적절히 처리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에베레스트 정상 뿐만 아니라 지구 전역에서 쓰레기 문제는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함께 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영국 플리머스 대학교와 미국 메인 대학교 공동 연구진은 2020년 에베레스트 정상 인근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발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이 바람에 의해 운반되어 정상까지 올라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습니다.
연구진은 에베레스트 정상 인근의 눈 표본을 분석한 결과,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 합성 섬유로 만든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미세 플라스틱은 등산복이나 텐트, 밧줄 등에 사용되는 재질로, 에베레스트 등반객이 버린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