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하늘에서 번개가 지그재그로 내리칠 때 구름속에 음전하이 터지면서 무엇을 타고 내려오는건가요?

하늘에서 번개가 지그재그로 내리칠 때 구름속에 음전하가 터지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가까운 물체(?)로 간다고 하는데요. 음전하이면 양전하로 갔다가 음전하으로 갔다가 하는건가요? 그래서 지그재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재훈 전문가
    김재훈 전문가
    SFTL

    안녕하세요

    번개가 지그재그로 보이는 이유는 음전하가 양전하 음전하 순으로 번갈아가며 이동하는 것이 아닙니다.

    번개는 구름 속에서 양전하가 음전하로 이동하면서 발생합니다 구름 아래쪽은 음전하를 위쪽은 양전하를 띠게 되고 이러한 전하의 불균형으로 인해 강력한 전기장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공기는 일반적으로 전기를 잘 통하지 않는 절연체입니다. 그래서 번개는 가장 짧은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주변 공기를 이온화시키며 통로를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공기의 밀도와 습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번개는 저항이 적은 곳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번개의 지그재그 모양은 구름과 지표 사이의 전기 저항 분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번개는 사실 매우 복잡한 현상입니다. 번개가 지그재그로 보이는 이유는 번개가 공기 중을 통과할 때 경로를 찾기 때문입니다. 번개 경로는 대기 중에 있는 불균일한 전하 분포와 공기의 다양한 저항값에 영향을 받습니다. 음전하는 대개 구름의 아래쪽에 집결하며, 양전하는 지면에 주로 포진합니다. 이런 전하 간의 강한 전기장이 생성되면 전자가 이동하여 번개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음극성 전하와 양극성 전하가 상호작용하면서 특정 경로를 따라 내려가는데, 이 경로가 지그재그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번개는 주로 음극성 전하가 결국 양극성 전하로 방전되는 과정이므로 음전하가 양전하로 갔다가 오는 과정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 속에 형성된 음전하가 지구 표면이나 다른 구름의 양전하와 만나면서 발생하는 자연 현상입니다. 번개가 지그재그로 보이는 이유는 번개 경로가 공기 중 전기적으로 가장 저항이 적은 경로를 따라가는 특성 때문입니다. 이 경로는 항상 직선이 아니라 굴곡이 있는 경로일 수 있기 때문에 지그재그로 보입니다. 음전하와 양전하가 번갈아 이동하는 개념으로 인해 번개가 지그재그로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번개의 경로는 구름과 지면 사이의 전기적 경로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번개가 형성될 때 여러 단계의 전하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것이 복잡한 경로를 형성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