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국민 국가는 대기업에 의존하고 또 대기업은 외국에만 의존하는 나라가 또있나요?

국민 국가는 대기업에 의존하고 또 대기업은 외국에만 의존하는 나라가 또있나요?

이 좁은 바늘구멍같은 대기업에 가기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과 절망을 느끼는 것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
    이대길 경제전문가
    메리츠화재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 대표기업인 가스프롬은 GDP 대비 매출액 비율이 7.97%로 3위였고 이탈리아 엑소르(7.56%), 프랑스 토탈(7.45%)이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으로 홍역을 치르는 독일의 자동차업체 폴크스바겐은 한 해 동안 2천689억6천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이 업체의 매출은 독일 GDP 총액(3조8천595억 달러)의 6.97%에 해당한다.

    스페인 방코 산탄데르(6.83%), 브라질 페트로브라스(6.10%), 일본 도요타(5.39%), 멕시코 아메리카 모빌(4.97%), 중국 시노펙(4.35%)의 비율은 7%를 넘지 않았다.]

    한국의 대기업의존율, gdp의 많은 부분 약15프로 정도로 대기업에 의존한다하며 갈수록 증가하는 거로 보입니다

    그 소수의 기업이 정규직만 고용하고 대부분은 하청에 계약직으로 일을 시키는 것으로알고 있습니다

  • 질문하신 국민과 국가가 대기업에 의존하고 대기업은 외국에만 의존하는 나라가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적어도 아무리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이라 하더라도

    언급하신 그런 나라는 없습니다.

  • 아무래도 대기업에 의존도가 큰 국가로는 스웨덴 등이 있습니다.

    스웨덴도 대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우리나라와 비슷한 등 하니 참고하세요.

  • 대부분의 국가들이 대기업에 의존도가 높은 것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서도 비슷한 상황이에요. 대기업의 완성 제품에 들어가게 되는 부품들을 생산하는 중소기업들로 이루어져 있다 보니 의존도가 높은 것이 해소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완제품 생산까지 하는 비율이 높아져야 하지만 그런 경우 제품 활로 개척등에 어려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