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회때 만국기를 다는 이유와 그 시기가 궁금합니다?
요즘 봄이라 그런지 축제하는곳을 볼 수 있습니다.
그 곳에 만국기가 걸려있는것을 보고 우리 딸 아이가 궁금해하네요. 학교 운동회때도 보면 만국기가 늘 걸려있는것을 볼 수있습니다.
축제나 운동회때 만국기를 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리고 만국기를 단 시기는 언제부터였을까요?
딸아이가 궁금해했지만 저도 궁금해지네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만국기(萬國旗)란 여러 나라의 국기를 줄에 매달아 장식하는 데 쓰이는 기장식의 일종입니다. 초등학교 운동회, 상가의 신장개업, 박람회나 축제등의 행사기간등 여러 경축사에 쓰입니다.
만국기의 유래는 서양의 만국박람회(또는 국제박람회)회장에 장식된 기장식을 대한민국으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명칭은 만국기이나, 실제로 200개가 넘는 모든 국가를 망라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주로 한국과 관계가 깊은 주요 국가나 각 대륙별로 대표성을 갖는 주요 국가등 몇몇 국가의 기만 포함합니다. 또한 시대별로 만국기에 등장하는 국가에 차이도 있는데, 공산국가와 수교를 맺기 전에는 한국 전쟁에 참가한 유엔의 기 및 한국전쟁 참전국의 국기 및 중화민국의 국기가 포함되어 반공의 기치를 분명히 하였고,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및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이후에는 러시아와 중화인민공화국의 기가 등장하고 중화민국의 기는 사라지는 등, 시대 및 정치적 조류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출처: 위키백과 만국기
안녕하세요. 만국기는 국제적인 상징이기 때문에 축제나 운동회 등 다양한 행사에서 사용됩니다. 만국기의 색상은 흰색, 파란색, 빨간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평화, 자유, 사랑을 상징합니다.
한국에서는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와 함께 만국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국제적인 행사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기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만국기를 다는 습관은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일본은 외교적, 경제적 압박을 통해 국민들에게 일본 제국주의를 심어주기 위해 국내에서 만국기를 사용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이 독립하면서 이러한 습관은 사라졌습니다.
그러나 1988년 서울올림픽이 열리면서 다시 만국기를 다는 습관이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국제적인 대회나 이벤트 등에서 만국기를 다는 것이 일반화되어, 현재에 이르러서도 만국기를 다는 습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만국기는 일본의 제국주의를 '찬양'하는
수단이라는 것.한수산의 '벚꽃도
사쿠라도 봄이면 핀다'(고려원.1995)에선 "일본이 만국기를 장식하기
시작한 것은 러.일전쟁 직후 승전을
축하하기 위해서"라며 "섬나라가 강대국 러시아와 싸워 이겼다는 것과 함께
이제 일본도 강대국의 하나가 되었음을 국민들에게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운동회에 만국기를 다는것은 정정당당하게 페어플레이하는 분위기, 축제로 승화시키기 위해서 이며
1851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1회 만국박람회 때 참가국의 국기를 줄지어 늘어 놓은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국기(萬國旗)란 여러 나라의 국기를 줄에 매달아 장식하는 데 쓰이는 기장식의 일종이다. 초등학교 운동회, 상가의 신장개업,박람회나 축제등의 행사기간등 여러 경축사에 쓰인다. 만국기의 유래는 서양의 만국박람회(또는 국제박람회)회장에 장식된 기장식을 일본이 메이지 중엽에 모방하여 줄에 종이재질로 된 국기로 장식한 것이 개화기 또는 일제강점기동안 한국으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만국기라는 표현이 앞서 일본어(万国旗(ばんこくき) )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명칭은 만국기이나, 실제로 200개가 넘는 모든 국가를 망라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주로 한국과 관계가 깊은 주요 국가나 각 대륙별로 대표성을 갖는 주요 국가등 몇몇 국가의 기만 포함한다. 또한 시대별로 만국기에 등장하는 국가에 차이도 있는데, 공산국가와 수교를 맺기 전에는 한국 전쟁에 참가한 유엔의 기 및 한국전쟁 참전국의 국기 및 대만(당시 자유중국)의 국기가 포함되어 반공의 기치를 분명히 하였고,소련의 붕괴 및 중국과의 수교이후에는 러시아와 중국의 기가 등장하고 대만의 기는 사라지는등, 시대 및 정치적 조류를 반영하고 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국기는 전 세계의 모든 나라를 대표하는 국기이기 때문에, 국제적인 행사에서 국기를 내걸었을 때 국가와 상관없이 참가하는 모든 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습니다.만국기를 처음 달았던 시기는 191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열린 제5회 올림픽대회입니다. 이때 선수단들이 자국의 국기를 들고 행진하는 것을 보고, 아직 국기를 가진 나라들은 참가하지 못한 것이 불공평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습니다. 그래서 만국기를 달아서 모든 나라를 대표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이후로 만국기는 국제스포츠 대회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국기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51년 제1회 런던 만국박람회(지금의 엑스포)로 알려져 있습니다.
1889년 프랑스 파리 만국박람회에선 에펠탑에 전등과 국기를 걸어오고 불을 밝혀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으며 축제의 기표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금도 박람회. 운동회는 물론 음식점 신장개업 때도 주위 시선을 끌려고 만국기를 겁니다.
만국기가 국내에 들어온 것은 일제 강점기라는 설이 있습니다.
회장에 장식된 기장식을 일본이 메이지 중엽 모방해 줄에 종이재질로 된 국기를 장식했다 라고 적혀져 있는데요.
이것이 개화기 또는 일제강점기에 한국으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운동회에 만국기를 거는 이유는 무엇이냐는 물음에 답을 해드리자면
운동회는 모든 학생들이 청백으로 나뉘어 게임을 하는 대회로 이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식 운동회가 전해진 것 입니다.
일본식 운동회는 미국의 플레이 게이나 영국의 경기회와 달리 승패를 중요시해 올림픽이나 육상경기와 비슷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만국기를 걸기 시작했다 라고 합니다.
또 다른 이유는 일본 제국주의를 찬양하는 수단 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한수산의 벚꽃도 사쿠라도 봄이면 핀다 라는 글 문장에서 일본이 만국기를 장식하기 시작한 것은 러.일 전쟁 직후 승전을 축하기 위해서 라며 섬나라가 강대국 러시아와 싸워 이겼다는 것과 함께 이제 일본도 강대국의 하나가 되었음을 국민들에게 강조하기 위함 이라고 하는 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