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하고 부유했던 인도의 무굴제국이 멸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인도의 무굴제국은 한때 엄청난 전성기를 누리고 인도전체를 통일하고 타지마할도 건설하였습니다. 강성하고 부유했던 인도의 무굴제국이 멸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멸망에 이른 것으로 보입니다.
1757년 플라시 전투에서 프랑스를 꺾고 사실상 인도의 지배세력으로 군림하게 된 영국은
처음에는 무굴황제를 식민지 지배의 도구로 활용하였습니다.
그러나 1857년, 인도인 용병인 세포이들이 무굴황제를 옹립하고 반란을 일으키게 되자영국은 이를 무력진압하고 무굴황제를 퇴위시킵니다.
이로써 무굴제국은 완전히 멸망하게 되었습니다.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세기~16세기 걸친 대항해 이후 유럽의 열강들은 인도로 진출하는데 이 중 두각을 드러낸 것은 영국으로 , 영국은 무굴제국의 약화를 틈타 남인도에서 난립하고 있던 봉건세력들을 멸망시키고 동인도회사를 내세워 인도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합니다.
1757년 플라시 전투에서 프랑스를 꺾고 사실상 인도의 지배세력으로 군림하게 된 영국은 처음 무굴황제를 식민지 지배의 도구로 활용하나 1857년 인도인 용병인 세포이들이 무굴황제를 옹립하고 반란을 일으키게 되자 영국은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고 무굴황제를 퇴위시킴으로써 무굴제국은 멸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인도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 무굴 왕조의 창시자는 바부르이다. 거의 3세기에 걸쳐 인도를 효율적으로 통치하였다. 바부르의 손자인 제 3대 황제 악바르는 집권적 관료제에 입각한 통치 체제를 확립하였고, 힌두 교도와의 유화를 도모하여 독특한 인도 이슬람 문화가 궁정 중심으로 개화하였다. 그 뒤 자항기르, 5대 샤 자한에 걸쳐 번영이 계속되고, 6대 아우랑제브 때 영역은 최대로 확대되었으나 이슬람 편중 정책으로 인한 힌두 계 세력의 이탈이 시작되었다. 동시에 궁정의 낭비와 전쟁 비용으로 재정난을 드러냈다. 7대 황제 이후에는 주변 세력의 침공과 반항이 계속되어 분열 상태에 놓였으며, 18세기 후반부터 영국의 식민지화가 추진되어 델리 부근의 소왕국이 되고 말았다. 1857년에 세포이 항쟁이 나자 무굴 왕조의 마지막 황제 비하두르샤 2세는 미얀마로 추방되었고, 왕조는 멸망하였다.
출처 :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도 무굴 제국은 16-17세기에 큰 전성기를 누렸었습니다. 그러나, 내부 갈등과 분열, 광대한 영토로 인한 행정적 어려움, 외부 세력(페르시아 왕조 등)의 침략,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간의 긴장 등으로 인해 무굴 제국이 점차 영향력을 잃었고 결국 몰락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