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검소한왈라비269
검소한왈라비269
25.04.14

직장 퇴사할때 30일을 맞춰서 나가야하나요?

직장을 다니는 지인이 있는데.. 그 지인이 팀장과의 문제로 퇴사를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팀장한테 퇴사를 한다고 하니 30일 룰 지키라고 했다고 하네요. 그래서 인사과에 가서 사람 문제로 퇴사하는거고 이번달 말까지(약 20일)정도만 하고 퇴사를 할꺼고 연차 다 쓰고 나가겠다 했는데.. 인사과는 그렇게 하라고 하는데.. 팀장이 30일 룰 지키라고 해도 20일만 하고 나가도 상관이 없을까요?? 지인이 힘들어해서 인사과에서 그렇게 하라고 했으면 상관없다고 하는데 맞는말인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chimtteum
    chimtteum
    25.04.15

    입사, 퇴사 관리는 인사과에서 하는 것이기에 구지 팀장 말 들을 필요 없습니다.

    인사과에서 그렇게 하라고 하면 인사과 말을 들으시면 됩니다.

  • 30일 룰은 팀장 본인 생각이고 어짜피 퇴사를 하는 입장이니 팀장 말 듣지 않으셔도 됩니다. 20일만 하고 나가도 상관이 없죠 인사과에서도 그렇게 하라고 했으니 말이죠

  • 직장 퇴사할 때 30일 기준은 사직서를 제출하고 회사에서 처리하는 기간이 30일 입니다. 그래서 30일 지키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단지 업무 인수, 인계에 따른 도의적인 의무와 책임을 다하려고 30일 고수하는 경우는 있습니다.

  • 솔직히 말해서 언제 퇴사해도 상관없습니다.

    30일 룰은 본인 생각일 거고

    계약서에 있으면 지켜야 합니다.

    그러나 보통의 계약서에는 그런 내용 없고

    월급이라는 개념으로 30일을 말한거겠죠.

    중도퇴사여도 일한만큼은 받습니다.

    안주면 근로노동법인가?

    그게 위반이니까요.

    일한만큼 주는게 원칙이고 법이라

  • 안녕하세요

    구지 30일 룰을 지킬 필요 없습니다.

    회사를 나가는 마당에 회사 사정을 봐줄 필요가 있을까요?

    퇴사하고 나서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업계에서 마주칠 일이 있다면, 지켜줄 거 같습니다.

  • 회사를 퇴사할 때 30일을 맞춰서 나가야 된다고 물어보셨는데 법적으로는 그렇게 맞춰서 나간다고 적혀 있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퇴사 의사를 한 달 전에는 미리 말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에 30일 지키지 못한다면 회사와 협의를 한 이후 퇴사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팀장이 그 복무와 관련해서 권한이 있는 게 아니라, 인사팀에서 결정하는 것으로서, 인사팀에서 그렇게 이야기를 했다면 30일을 지키지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팀장보다 인사팀이 우선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