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에 튕기면 많이 튀어 오르는 얌체공의 원리 는 무엇인가요?
바닥에 튕기면 많이 튀어 오르는 탱탱볼 또는 얌체공이라고도 하잖아요 이런 얌체공 의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어떻게 그렇게 높이까지 튀어 오를 수 있는지.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얌제공의 원리는 고모가 수축 되었다가 원래 형태로 수복 되면서 생기는 특성에 영향을 봤습니다.
얌체 공 의 경우에는 빠르고 쉽게 원래 모양을 회복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외부를 밀어내는 힘의 의해서 뛰어오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고무재질보다 더 탄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여 공 내부 외부에 아무런 실밥이나 기능을 적용하지않고 오로지 탄성에 집중한 공이기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얌체공이 바닥에 튕기면 많이 튀어 오르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탄성 : 얌체공은 붕사와 PVA(폴리비닐알코올)를 혼합하여 만든 물질로, 탄성이 매우 높습니다. 탄성이란 물체에 힘을 가했다가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모양과 크기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말합니다. 얌체공은 탄성이 높기 때문에 바닥에 튕겼을 때 힘을 많이 받아서 멀리 튕겨 나갑니다.
점성 : 얌체공은 점성이 낮습니다. 점성이란 물체가 흐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점성이 낮은 물체는 쉽게 흐르기 때문에 바닥에 튕겼을 때 공기 저항을 적게 받아서 멀리 튕겨 나갑니다.
얌체공의 탄성은 붕사의 함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붕사의 함량이 높을수록 탄성이 높아지고, 튕겨 오르는 높이도 높아집니다. 또한, 얌체공의 크기가 작을수록 탄성도 높아지고, 튕겨 오르는 높이도 높아집니다.
얌체공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붕사 1g을 물 100ml에 녹입니다.
PVA 10g을 물 100ml에 녹입니다.
붕사 용액과 PVA 용액을 섞습니다.
랩으로 용액을 덮어둔 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킵니다.
건조가 완료되면 얌체공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붕사는 온천이나 화산 지대 호수의 침전물에서 산출되며, 붕산에 탄산소다를 첨가하여 중화시켜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비누, 방부제, 의약품 들을 만드는 데 쓰이는 주요 자원입니다.
PVA(폴리비닐 알코올)는 폴리초산비닐을 가수분해하여 얻는 물질로, 합성 섬유와 페인트, 접착제 등을 만드는 데 쓰입니다. 붕사와 PVA가 녹은 용액을 서로 섞으면 분자끼리 촘촘하게 결합합니다.
붕사 분자가 PVA(폴리비닐 알코올) 분자 사이로 끼어들면서 거대한 사슬로 연결시키기 때문에 말랑말랑하면서 탄성이 큰 특징을 갖게 되어, 탱탱볼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탄성력이 크기 때문에 높게 튀어 오른는 거구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얌체공의 원리는 탄성에 있습니다. 탄성이란 물체가 변형된 후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입니다. 얌체공은 폴리뷰타다이엔이라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변형에 대한 탄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얌체공이 바닥에 닿으면, 공의 모양이 변형됩니다. 이때 공에 저장된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공이 바닥에서 떨어지면서, 저장된 에너지가 공의 속력으로 변환됩니다. 공의 속력이 충분히 커지면, 공은 바닥에서 튕겨 올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