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이 여름철에 비해서 정전기가 더자주발생하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여름철에 자동차손잡이를 잡을때 정전기가 일어나는경우는 거의 없는데 겨울철에는 자동차 손잡이를 잡을때마다 정전기가 날까봐 조심을하게됩니다.
이처럼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압도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왜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가 생기는 이유는 ‘마찰’ 때문입니다. 물체를 이루는 원자 주변에는 전자가 돌고 있습니다. 원자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자들은 마찰을 통해 다른 물체로 쉽게 이동을 합니다. 이때 전자를 잃은 쪽은 (+)전하가, 전자를 얻은 쪽은 (-)전하를 띠게 되어 전위차가 생기는데요. 생활 속에서 주변의 물체와 접촉하면 마찰이 일어나죠? 그때마다 우리 몸과 물체가 전자를 주고 받으면 몸과 물체에 조금씩 전기가 저장됩니다. 한도 이상의 전기가 쌓였을 때 적절한 유도체에 닿으면 그 동안 쌓았던 전기가 순식간에 이동하게 됩니다. 심한 경우에는 스파크를 일으키며 이동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정전기라고 합니다.
사람마다 정전기가 유독 잘 통하는 사람이 있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정전기는 건조할 때 잘 생깁니다. 수증기는 전기친화적인 성질이 있어, 주변의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전기적 중성상태로 만듭니다. 따라서 습도가 비교적 높을 때에는 정전기가 잘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전기는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잘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는 마르고, 건조하고, 마찰이 심하면 더 심해지죠
아시다시피..여름보다 겨울이 상대 습도가 더 높습니다. 대기가 매말라 있어서 수분이 부족하여 정전기가 축적되기 쉽게 만들죠
또한, 겨울에는 추우니 따뜻한 옷을 여러겹 입거나 소재 자체가 마찰을 일으키기 쉬운 상황이 많습니다.
패딩이나 목도리,쉐타 등 보온제,난방 도움 등도 수분 증발을 돕는 영향을 주기에 내.외부적으로 수분과의 접촉 기회가 줄어들죠
마지막으로..겨울철 옷감은 울,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은 정전기 발생이 쉬운 소재라서 더더욱 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ㅎ
여름은 일반적으로 습도가 높아서 공기가 상대적으로 더 수분이 많은 상태입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 중의 수분이 물방울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정전기를 흡수하고 방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겨울에는 대체로 습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분이 부족하게 됩니다. 따라서, 건조한 공기는 정전기를 쉽게 생성하고 방전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보다 두꺼운 옷을 입고, 단열 재질인 울이나 폴리에스터 소재의 옷을 선호합니다. 이러한 옷들은 정전기를 생성하고 충전하는 능력이 큽니다. 또한 겨울철에는 보다 건조한 환경에서 신발을 착용하게 됩니다. 신발과 바닥면 간의 마찰은 정전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옷과 신발로 인해 정전기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이 여름철에 비해 정전기가 더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상대 습도와 온도 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철에는 대기의 상대 습도가 낮고, 온도 차이가 큰 상황이 많습니다. 이러한 조건은 정전기 발생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낮은 상대 습도는 대기의 전기 저항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높은 온도 차이는 대기와 지표 간의 전기적인 차이를 증가시킵니다. 이렇게 전기적인 차이가 증가하면, 대기와 지표 사이나 구름과 지표 사이에서 정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면 여름철에는 상대 습도가 높아서 대기의 전기 저항이 낮아지고, 온도 차이가 작아져서 지표와 대기 간의 전기적인 차이도 작아집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은 물체끼리 마찰에 의해서 전기가 흐르지 않고 한곳에 집중되었다가 적절한 유도체를 만나면 한번에 전기를 방출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공기중에 수분 즉 물이 많으면 물에 전기가 잘통해서 마찰에 의해서 전기하 한곳에 모이지 않게 됩니다. 그런데 겨울과 같이 건조한 날에는 공기중에 습기가 없어서 전기가 이동하지 못하고 한곳에 모이게 되고 그러다가 적절한 유도체를 만나면 이동하면서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는 공기 중의 전자들이 움직이며 발생합니다. 공기가 건조하면 공기 중의 전자들이 쉽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반면 공기가 습하면 공기 중의 전자들이 쉽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겨울철은 여름철보다 공기가 건조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이 여름에 비해서 더 건조하기 때문에 머리카락, 피부, 의류에서 정전기 발생이 많아집니다. 정전기를 줄이기 위해서 가습기를 틀거나, 보습제를 발라 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는 습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철은 겨울철 보다 습도가 높은 날씨입니다. 다습한 환경에선 정전기가 덜 발생하게 됩니다.
겨울은 여름철 보다 습도가 낮습니다. 그로 인해 정전기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의 건조함 때문입니다.
정전기는 지속적으로 공기중으로 배출되어야 쌓이지 않지만 건조한 대기는 전기가 잘 통하지.않아 정전기가 대기중으로 배출 되기 어렵게 됩니다.
그 때문에 겨울에는 쌓인 정전기가 한번에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