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을 적게 받아서 4대보험 가입을 안하고 싶은데요. 4대보험 가입을 안하면 어떤 것들이 안좋나요?
다음달부터 5명 미만 음식점에서 하루 12시간 근무 5일제로 일 할 예정인데요.
사장님과 면담을 했는데 월급이 적으니 조금이라도 더 받으려면 4대보험 미적용해도 괜찮다고 하는데 근로자로서 4대보험 가입을 안하면 어떤 단점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회보험의 일부인 4대보험은 국가가 국민의 경제생활을 안전적으로 보장하고 사회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 보험의 원리와 방식을 도입해서 만든 사회경제제도입니다. 즉 언제든지 발생할지 모를 사회적 위험, 즉 질병, 장애, 노령, 실업, 사망등을 보험 형식으로 대비하는것이죠.
만약 4대보험을 들지않는다면 아래와 같은 (근로자로써) 불이익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연금보험: 미가입시 향후 나이가 들거나 갑작으선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사망 혹은 장애 발생으로 인한 소득 활동 중단시 본인이나 유족들한테 기본적인 생활을 영유할 연금을 받을수 없게될것입니다 (현재는 국민연금만으로 풍족할 노후를 지낼수 없기에, 소득이 있을경우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등등 미리 대비해두는것이 좋은 전략이지요)
건강보험: 향후 질병으로 인해서 의료비 발생시 진료비 일부등을 국가가 대신 납부해주는데. 법에 의해 시행되는 건강보험은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가입해야되겠죠. 1989년부터 전 국민이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게 없다면 발생할수 있는 진료비를 소수의 가입자만 책임져야할수 있어서 큰 부담이 될수 있습니다.
고용보험: 구직자나 혹은 실업자에게 생활에 필요한 급여등을 지급하여 재취업 및 생활안정을 지원하는 사회보장제도인데. 이게 없다면 실직시 일정기간동안의 실업급여등을 받을수 없을지도 모르니, 경제적으로 부담이 크게 될수 있습니다.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일터에서 산업재해등으로 피해를 입은 근로자를 보호하기위한것으로 1964년에 도입된 대한민국 최초의 사회보험제도인데, 이보험이 있어야 산업재해등으로 본인이 다친다면, 산재보상등을 받을수 있게되지요. 이보험은 원칙적으로 상기 언급된 3가지 보험과 달리 보험료 전액을 사업주가 부담해야합니다. 일할때 다칠수 있거나 산업재해발생이 높다면 더더욱 이 산재보험을 사업주가 부담해서 들어야할것입니다
이상이 4대보험 미가입시 근로자로써 불이익을 받을수 있는 부분이라고봅니다.
웬만하면 4대보험을 가입하시고 일터에서 일하시는것이 혹시 발생할지 모를 실업이나 산재등에서 보상을 받을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될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