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User
User23.07.02

리플프리(ripple-free)프리 직류에서 "리플프리(ripple-free)" 용어 정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KEC공부하던 중에 질문 제목에 쓰여있는 용어가 있었습니다.

질문 제목에 대한 직관적인 답변 및 예시 바라고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말 그대로 물결이 없는 잔잔한 상태, 그런 표면의 이미지를 떠 올리면 좋겠습니다..

    전기전인 의미로는 전력 공급 장치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동이나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신호 자체가 안정적으로

    전달되는 지극히 안전한 상태를 의미 한답니다.

    우리가..전원이 들어갔을 경우에 전압 및 전류를 점검하는데..이때 변동이 거의 없거나 미미한 안정된 상태를 리플프리 상태라고 하죠

    또한, 전기적인 분야외에..물결이 거의 없거나 표면 상태가 매끄럽고 균일한 상태일때도 이런 용어를 사용한답니다. ㅎ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리플프리(ripple-free)"는 직류 전원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리플이 없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전류나 전압의 리플은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변동성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직류 전원에서는 저주파수의 리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원 공급 장치나 전자 회로에서 발생하는 변동성입니다. 리플은 전자 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민감한 전자 기기나 회로에는 해로울 수 있습니다.

    리플프리직류는 이러한 리플이 최소한으로 유지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전원 공급 장치나 필터링 회로 등을 통해 리플을 억제하거나 제거하여 달성될 수 있습니다. 리플프리 직류는 안정적이고 일정한 전압이나 전류를 제공하여 전자 장치의 정확한 동작을 보장하는 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AC를 정류해서 DC를 만들 때 완벽하게 건전지 같은 일정한 전압이 나오는 DC를 만들어 낼 순 없죠.

    왜냐하면 AC가 초당 60Hz로 진동하는 맥류이기 때문에 아무리 정류를 시키고 콘덴서를 달아도 출렁이는 것이 남게 되는데 이걸 리플이라고 합니다.

    ​리플을 없애기 위해 다양한 평활회로를 첨가하거나 레귤레이터 칩들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그런 리플 성분이 전체 전압의 10% 미만으로 떨어지면 리플이 이정도면 없다(Free)는 표현으로 리플프리라고 합니다.

    ​직류 성분에 대하여 10%를 넘지 않는 실횻값을 갖는 직류 전압. 공칭 전압 120볼트 리플 프리 직류 전원 시스템에서 최고 첨두치 전압은 140볼트를 넘지 않습니다.​

    또한 공칭 전압 60볼트의 리플 프리 직류 전원 시스템에서 최고 첨두치 전압은 70볼트를 넘지 않습니다.


  • 리플은 주로 전원 변환 장치(예: 전원 공급 장치, 정류기 등)에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전압이나 전류를 일정한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파동 형태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플이 다른 전자 장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민감한 전자 기기나 회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직류 성분에 대하여 10%를 넘지 않는 실횻값을 갖는 직류 전압. 공칭 전압 120볼트 리플 프리 직류 전원 시스템에서 최고 첨두치 전압은 140볼트를 넘지 않는다. 또한 공칭 전압 60볼트의 리플 프리 직류 전원 시스템에서 최고 첨두치 전압은 70볼트를 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