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더위쳐
더위쳐

투자보다 적금이 결론적으로 돈을 더 버나요?

주식이나 코인같은 투자를 하면 대부분 많이 버는것보다 잃는 사람들이 더 많아서 결론적으로 적금이 더 돈을 많이 번다는 사람들이 있던데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그니처컨설팅CEO 이원희
      시그니처컨설팅CEO 이원희

      안녕하세요. 이원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금융은 주변의 소문소리보다는 본인의 주관을 믿으셔야합니다

      때문에 많은 공부가 필요하죠

      수능칠때와 동일합니다

      초등학교1학년 때부터 고등학교 3학년때까지 12년을 공부를 해서

      대학에 붙어야하죠

      여기서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도 있고 못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공부를 안하는데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도 있고

      공부를 열심히 하는데도 공부를 못하는 아이들도 있죠

      투자도 맥락은 공부와 동일합니다

      거시경제환경,환율,성장률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업종들에 대한 이해, 상대적인 수익률에 대한 이해 등

      머리가 빠짝빠짝 잘 돌아간다면 투자는 승리합니다

      적금보다 훨씬 많은 돈을 벌어들이겠죠

      하지만 겉핡기식으로 투자를 배우고 주식에 뛰어들고

      깡통을 계속 찬다면 일반적으로 적금 드는 사람보다 돈이 없는게 당연한 원리죠

      한국은 경제발전에 비해 투자,금융지식이 느리게 발전한 편이기 때문에

      그런 소리가 들리는 것도 있습니다.

      또한 임금인상률은 현재 물가상승률과 경제환경에 못따라가고 있죠

      투자 없이는 못사는 세상이 현재입니다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국 원금을 지키느냐 지키지 못하느냐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투자로 적금 이자율만큼 수익 내는 것이 어렵다는 말입니다. 실제로 주변에 조사를 해보면 누적 기준으로 수익 난 사람이 10명에 한 명정도 있을까 말까입니다. 즉 수익이 날 확률이 10%도 안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보통은 적금을 드는 것이 투자보다 수익률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말씀드릴 것은 적금이나 예금도 투자의 한 방법입니다.

      다만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투자라고 하면 주식이나 코인 혹은 부동산등 기대 수익률이 높은 것에 대해서만 투자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지금같이 금리가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는 시기에는 경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나 그리고 주식보다 변동성이 높은 코인에 투자하는 것은 손실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투자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리가 인상된다는 말은 곧 화폐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렇게 화폐가치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적금+절세상품보다 안정적이며 괜찮은 수익률을 보장하는 투자처는 많지 않습니다.

      지금의 예적금의 경우 최소한 3%이상의 수익률을 보장하며, 절세상품의 경우 14%이상의 연수익률을 보장하니 2가지를 잘 운용하게 되면 연간 8%이상의 수익을 얻을수 있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적금은 안정적이지만 돈을 많이 벌지는 못하지요,,반면 주식이나 코인은 돈은 못벌거나 손실을 볼수 있지만 벌게되면 아주 크게 벌수도 있습니다..그리고 예,적금은 손실본 사람이 제로이며 코인이나 주식은 이익을 본 사람보다 손실을 본사람이 훨씬 더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모든 경제는 제로섬게임입니다.

      잃는 사람이 있으면 버는 사람이 있고 그 총계는 0에 수렴하죠.

      어떤게 더 많이 번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적금은 최소한 내돈이 마이너스가 되지는 않으니 변동이 심해 시장의 리스크가 많을때는 적금으로 목돈을 만드는 것도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