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증시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우스게말로 국장은 하지말라고 말이 많은데요
우리나가 국장의 활성화를 하기위한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오늘도 좋은하루보내세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정책에 대한 이슈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기업이 주주를 위한 의사결정을
해야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현재는 언제 기업이 주주 뒤통수를 치고 유상증자나 물적분할을 할지 모르기 때문에
배신감도 있고 더이상 국장을 안하는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들이 이익의 일정 비율 이상을 배당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시행해야 합니다. 배당 확대는 투자자들에게 직접적인 수익을 제공하여 투자 매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사외이사 비중을 확대하고,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강화하여 경영진의 독단적인 경영을 견제해야 합니다. 소액 주주들의 의결권 행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투표제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불공정 거래 행위를 철저히 감시하고 처벌하여 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 투자 성향의 기관 투자자를 육성하여 시장 변동성을 완화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증시 활성화 방안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충분한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 그 내용이 주주환원과 기업지원에 미흡했기 때문입니다. 국가가 나서서 밸류어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는 기업에 세제 지원을 해준다면 기업 역시도 주주환원 정책을 미국처럼 펼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장 활성화가 되려면 기조가 바뀌어야하는데 바꿀 수 있는 것이 새로운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있습니다.
일단 새롭게 뽑게 되는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정책들이 조금씩 자리잡히게 되면 국장으로 조금씩 유입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장이 생각보다 많은 외국인들이 이탈하였고 저평가 구간은 맞기에 어느 타이밍이냐가 중요해보이는데 그 시점이 대통령 선거 이후라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 활성화를 위한 방법에는 친투자자를 위한 정책인 배당주 지급하는 기업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주는 방법도 고려될만합니다.
문자는 우리나라에서 특별히 뭘 하지말고 미국 시장만 따라서 규제를 해도 상승할 거라고 봅니다. 너무 반시장적인 정책들이 심심찮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증시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주주환원 정책을 더 강화해야지
활성화가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장 활성화 방안은 결국 주주환원정책이 강제화 해서 주주친화적인 시장으로 가야 국내 증시가 활성화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작년 벨류업 프로그램은 기업 자율성이 맡겨서 영양가가 없는 제도입니다 강제성을 부여했다면 저는 좋았을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작년 국내 주식시장은 너무 어려웠습니다 저도 수익률이 안좋아서 답답하네요
올해는 부디 좋길 바라고 질문자님은 부디 대응 잘하셔서 큰 수익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2025년에도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