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스와프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통화스와프 (currency swap) 외환보유고를 보강하고, 경제 안정을 위해 통화교환(스왑)의 형식을 이용하여 단기적인 자 금 융통을 하기로 하는 계약. 협정 당시 환율에 따라 두 국가가 일정 기간 화폐를 서로 교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통화스와프란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양국 화폐의 교환 비율)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돈을 상대국과 교환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최초 계약 때 정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게 되는 거래를 말하는 것이에요
통화스와프의 경우 일반적으로 두 나라가 자국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외환위기가 발생하면 자국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외국통화를 단기 차입하는 중앙은행 간 신용계약으로서, 통화스와프의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아요
- 한국과 미국이 1월 1일 총 2억달러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였다
- 한국은 달러자금이 부족하여 2월 1일 미국으로부터 1,000원의 환율로 5천만불을 빌리게 되었다.(현재환율 1,000원)
- 한국은 달러자금이 확보되어 5월 1일 미국의 중앙은행에 1,000원의 환율로 5천만불을 상환하였다.(현재환율 1,300원)
차입한 자금을 환율이 변동되더라도 차입한 시점의 환율로 갚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통화스와프는 현재 실제로 한국이 보유한 외환보유고 외에 돈을 빌려올수 있는 한도(쉽게 생각하시면 마이너스통장의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편할것 같아요. 언제든지 빌리고 갚는)가 생겨서 차 후 외환위기 발생시 여유를 가질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에요
통화스와프는 국가의 외국 채권 상환 이나 환율안정화를 위해 도입합니다.
보통 양 국가 모두 이익일때도 있지만, 기축통화 국가에서 다른나라에 혜택 개념으로 계약을 체결해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이 스와프 계약을 체결한다고 하면 미국에 실질적인 이익은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 1998년 imf 당시 외환보유고가 부족해서 문제가 있었는데, 큰 금액의 달러 스와프 계약이 체결되어있었다면, 그정도로 환율이 불안정해지지 않았을것이고 피해도 적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미래 상대국의 통화 or 상대국의 통화로 환전할 수 있는 다른 통화가 필요할 때를 대비해서 양국이 이해관계를 일치시켜 맺는 대표적인 계약이 통화스와프이며 달러화 통화스와프가 체결되면 그만큼 그 나라가 외환위기 등을 겪을 일은 없어지기 때문에 시장에서 가장 호재로 보곤 합니다.
1997년 소위 IMF 사태의 근원적 문제는 경제적, 사회적으로 복잡하지만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는 우리나라 달러 외환보유고가 바닥이 나서 다른 나라에 지불할 돈을 지불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부도 위기에 몰려 결국 구제 금융을 받았다는 기억이 나실 겁니다.
그때 당시 몇몇 선진국들과 달러 스왑 계약이 있었더라면, IMF 구제금융 없이도 위기를 넘길 수 있었겠지요.
질문하신 통화스와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화스와프를 체결하게 되면 두 나라간의 일정 계약 조건에 따라서 양국의 통화를 서로 교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곧 통화를 교환함으로서 외환으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을 시에 외환 보유고를 강화하고 자국의 경제 안정을 위해서
맺는 것입니다.
국가들은 외환보유고를 보강하기 위해 다른 국가의 화폐를 보유하고자 할 수 있습니다. 통화스왑을 통해 상대국의 화폐를 보유하게 되어 외환보유고를 다양화할 수 있습니다.
또 통화스왑을 통해 두 국가는 환율 변동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경제 불안 요인이나 금융위기 시에는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줄이기 위해 통화스왑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일종의 보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래에 환율 변동이 거의 없어서 항상 똑같이 유지된다면 통화스와프 체결 권리를
행사 안하면 되는 것이지만 현재와 같이 과거 대비 환율이 큰 폭으로 올랐을 경우
미리 정해둔 환율로 통화를 거래하여 위험을 햇징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감사합니다.
비상시를 대비해서 입니다. 예를들면 외환위기.. IMF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서지요.
통화스와프는 쉽게말하면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으로.
외환보유고가 마르면, 스와프를 맺은 외국에서 외화를 빌려와 급한 불을 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표적으로 캐나다와 맺은 스와프가 있는데, 한도가 무제한에 가까워 비상시에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단순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통화 스와프는 국가 간에 자금 융통으로 금융 위기나 환율 변동성이 발생하면 불안정을 완화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외환 시장에서 통화 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지면 일본과 통화 스와프를 통해 필요한 외화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계약은 두 국가가 서로 통화를 사전에 정한 비율로 교환하고 약정이 끝나면 다시 환율로 교환하여 돌려줍니다. 이런 통화스와프는 참여 국가들끼리 신뢰성을 높이고 신용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통화스와프와 같은 경우에는 양 화폐의 교환을 통하여 유동성을 풍부하게 하는 등 외화확보의 목적으로 교환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보통 통화스와프의 대상통화가 달러인걸로 알고 있구요 정부에서 달러가 단기간 부족할 경우가 생길때 스와프한 국가에 원화 주고 달러를 빌려오는거라 생각하심 될거 같습니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