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4건의 질문
- 내과의료상담Q. 경동맥 협착률 구해주실 수 있나요??경동맥 초음파 검사결과지입니다.본 결과지를 토대로 경동맥 협착률을 구할 수 있나요?I65.2 진단을 내려주셨는데협착률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 의료 보험보험Q. 내경동맥협착(I65.2) 진단비 보험금 수령을 위해 손해사정사 도움을 받고싶습니다. 가능할까요?방문 및 초진21년 12/06 CT촬영21년 12/21 내경동맥 협착 소견을 의사로부터 받고24년 6/05 CT두번째 촬영 (진행경과 확인)24년 6/12 내경동맥 협착(I65.2) 진단서를 받았습니다.(21년 12/21 이후 현재까지 계속 약물 치료는 받고 있습니다)진단서에는 최종진단이 아닌 임상적추정으로 되어있어내일(6/26) 주치의를 다시 방문해 최종진단으로 진단서 수정요청드리려 하는데,이것이 의미가 없을까요?(아직 보험청구서류를 보험사에 보내지는 않았습니다)회사단체보험이라 진단명이 최종진단으로 나오면 보험금 수령이 유리하다는 보험사 심사원으로 부터 얘기를 들었습니다.진단금이 4개 보험사 합하여 3천만원 되는 큰 금액이라 잘 준비해서 보험금을 수령하고 싶은데,1. 내일 주치의를 만나 최종진단 요청이 의미가 있나요?2. 보험청구서류 제출전 손해사정사님 도움을 받고 싶은데, 상담을 받고 진행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관심있는 손해사정사 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3. 진단서에 발생연월 : 미상 으로 되어있는데, 이건 문제가 되지 않나요?
- 의료 보험보험Q. 보험료 청구시 질병코드 확인은 약관에서 가능한가요?가역성 뇌혈관 연축증후군 진단을 받았습니다보험사에서 MRI상 I65여야 되는데 I67이라 지급이 안된다고 합니다진단서에 주)I67 이지만 부)I65로 명시가 되어 있는데 안되는걸까요?
- 의료 보험보험Q. [보험] 진단비 청구, 이런 경우 고지의무 위반이 될까요?10일 해당 건강검진센터에서 진료의뢰서를 받아3차병원인 가톨릭성모병원 신경과 방문, 21년 12월 6일 경동맥협착(I65.2) 진단을 받았습니다.성모병원 방문전, 혹시 몰라 뇌혈관질환관련 메리츠화재 진단비 보험을 들었습니다. (가입일 : 21년 11월 23일~)경동맥협착(I65.2)이 진단비 청구대상인걸 몰라 보험금 청구를 안 하고 있다가24년 실손보험 신청하면서 해당 진단이 진단금 청구대상인걸 알게 되어24년 10월 주치의에게 경동맥협착에 대해 확정진단서를 받아 현재 진단금 신청을 진행중입니다.제 진단과 관련해 회사단체보험도 들어있어회사단체보험 4개보험사로 부터 21년 12월 6일 진단확정을 인정받아 진단금을 수령한 상황입니다.회사단체보험으로는 진단금을 수령했으나개인보험으로 가입한 메리츠 화재 개인보험의 경우 (가입일 : 21년 11월23일~)혹시 고지의무 위반으로 보험금을 수령하지 못할 수 도 있나요?21년 11월23일 가입시, 이전에 병원치료를 받고 있었냐는 질문에 병원다닌적은 없다고 답변하고 보험가입한 상황인데, 건강검진을 통해 진료의뢰서를 받은시점이 보험계약시점보다 빠르기 때문에 (진료의뢰서 21.11.10일자)고지의무 위반 으로 보험금 지급이 거절될 수도 있나요?3년간 500만원 정도의 보험금을 납입했는데, 고지의무 위반으로 보험계약도 해지당하고, 그간 낸 보험료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