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11건의 질문
- 임금·급여고용·노동Q. 급여명세서에 연차정산 일할계산 반영 문의12월 18일부터 출산휴가를 가게됩니다그래서 12월 18일 이전 급여12월 1일~ 12월 17일까지 근무한거는 회사에서 지급하게 되는데월급여x17/31 인데급여명세서에 매월 기본급이랑 식대비 나가는데이번에 17일분 급여명세서 반영하려면기본급 일할계산한게 만약 1,500,000원이면여기서 식대비 20만원 빼고기본급을 130만원 하고비과세 식대비 20만원 하나요?이번에 연차정산도 하게되어서받게 되는데그 부분은 급여에 어떻게 반영시키고저 같은경우 원천세는 어떻게 공제 시키나요?130만원 과세부분이랑 연차정산분 합쳐서 원천세 공제 시키나요?아니면 원래 공제하던 원천세 그대로 놔두나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월 중도 퇴사자의 퇴직금 계산 통상임금 산정시에 일할계산 질문있습니다.일때,각각 2월은(5백만 ÷ 28일 x 11일) / 5월은 (5백만 ÷ 31일 x 17일) 이 맞나요?아니면 하나로 정해서 (5백만 ÷ 28일 x 11일) / (5백만 ÷ 28 x 17일) 이 맞나요?두 예시중에 어떤 게 적합한 계산법인가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퇴직금 및 연차수당 지급 맞는건가요??나눈다음79260x17 인가요??1.퇴직금 맞게 들어온건지 연차수당 포함인지2.연차수당 17개 청구 할수있는지3.연차수당은 하루 얼마로 하면 되는건가요?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출산휴가를 가게되어서 회사에서 급여지급 계산안녕하세요12월 1일~ 12월 17일까지 근무한거는 회사에서 지급하게 되는데실제론 12월 15일까지 근무인데 16일, 17일 주말도 지급하는걸로 아는데어떻게 일할계산 하면 되나요월급여x17/31 이 계산 방식이 맞나요?상여금이 연봉에 포함되어 있고 고정적인 식대가 있습니다이 경우 기본급이랑 상여금+식대 다 포함해서 월급여로 보나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중도 퇴사 급여 확인 부탁드려요6일중 0일출근으로1000만원X17일/27일 = 6,296,296원 이라고 답변 받았습니다.중도퇴사시 급여에 대해 법령으로 지정된 바가 없어1. 월급 * (역일수/근무일수)2. 월급 * (소정근로일/근로일수)3. 월급 * (실제 근무 시간/소정근로시간) 로 계산한다고 들었는데, 전직장 노무사 계산법이 맞는지 궁금합니다.또한, 저 계산법이 맞다면, 제가 근무한 일이 만우로 3주인데 저럴 경우 주휴수당 3일로 계산되야하지 않나 궁금합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국내 상주 하는 외국계 비영리 법인 회사 노동법에 관한 질문입니다.대비해야 하며, 퇴근후에도 카톡으로 합니다. 현재 턱없이 낮은 기본급과 기준점이 없는 임금 상승률이나, 추가 시간 수당 (야간, 주말), 기본급여의 부적절성, 그리고 반복되는 지사장의 폭언과 갑질에 가까운 행태가 문제가 되어 문제를 제기 하기 이전에 의견을 여쭙습니다.제가 알기로는 5인 이상이 상시근로하는 국내에 상주하는 외국계이면 국내 기업과 동일한 근로법을 적용 받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질문을 하겠습니다.첫번째, 기준점이 모호하며 주관적인 임금 상승률 일단 기준점이 없습니다. 매년 4월 급여 지급일 1~2주 전에 연봉협상을 합니다. 사실 연봉협상이아닌 통보 입니다.항상 하는 이야기가 본사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이정도 밖에 주지 못한다 등의 주관적이고 모호한 핑계를 내세우며 반강제적으로 사인을 할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듭니다.이에 대한 법률적인 근거를 내세우며 근로자가 요구 할수 있는 사항이 있는지 궁금 합니다.두번째, 추가 시간 수당에 관해서 입니다. 이 또한 연차에 따라서 다르지만 평일 막내급은 시간당 1만원에서 경력 순으로 15000원정도, 주말 막내급 12000원 ~ 18000원정도 지급받습니다. 여기서 법률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리라 생각이 됩니다. 이를 계좌 지급이 아닌 현금지급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것은 탈세의 문제도 될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것에 대해서 상세하게 어떤것이 위반이며, 제가 회사에 요구 할수 있는 법률적 근거 조항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 받는 추가수당에서 줄더라도, 법률적근거에 위반이라면 이또한 세번째, 기본급여의 부적절성 지금 저희회사에서 차용하고 있는 2~3달 간격의 보너스 제도는 퇴직금을 적게 주기위한 꼼수라는 생각 밖에 들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월 150만원을 받는 직원이 있다면, 그 인원은 1년에 퇴직금이 150만원 밖에 적립이 되지 않습니다.사실상 150X17(12개월 +보너스5개월)을 해서 12로 나누면 월 평균 임금은 212만원 임에도 불구하고 212만원의 퇴직금 적립이 아닌 150만원 만 매년 적립이 되니 부당하다는 생각이 듭니다.또한 특수한 경우의 업종이니 예외라고 하실까봐 미리 말씀을 드리자면, 외국계 방송 언론입니다. 퇴근후의 카톡 업무 지시, 전화가 문제를 삼을수 있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시간을 가리지 않는 개인사를 위한 연락( 식당예약, 밤 12시에 전화로 택시기사와 통화하라, 등.. )네번째, 지사장의 폭언과 갑질지사장의 무리한 업무요구, 본인의 컨디션에 따라 행하는 고성과, 상대방에게 모욕을 주는 언사 등을 문제로 삼고 싶습니다. 말도 안되는 잦은 전화로 무리한 업무 지시와 이에 관해서는 법리적으로 조언을 주실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사실 의뢰를 해서 진행을 하고 싶지만 다른 근로자들과도 의견을 공유해야하니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생활꿀팁생활Q. c언어 바이트 배열값을 리틀엔디안 4바이트값으로 변환할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80... 이런식으로 바이트 값이 들어있고4바이트씩 값을 보고싶을땐 어떻게 해야되나요?(리틀엔디안으로)가령 arr[0~4] 4바이트씩 읽을라면 {0x17, 0x2C, 0x20, 0x50} 이니까 DWORD 값(0x172C2050)은 1344285719또 arr[1~5] 이런식으로 쭉 읽고싶은데 어떻게 해야되나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중도입사 또는 중도퇴사자의 급여 정산 방법 문의.퇴사 했을시 → 2,090,000원 / 28일 x 17일 = 1,268,929원이 맞나요?
- PC 주변기기디지털·가전제품Q. 프린터에서 출력하는데 있어 용지 사이즈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회사에서 업무하고 있는데 PDF 파일로 저장되어 A4 사이즈로 출력하려고 했더니 출력되지 않고11 X 17 사이즈 용지가 없다 이런식으로 나옵니다.실제로 좀 작은 사이즈지만 자동으로 A4로 출력되어야 하는데 몇몇 파일만 이런증상을 겪고 있습니다.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사진으로 변환하여 PDF로 했는데도 그렇네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월급제 주말알바 급여 이게 맞나요??안녕하세요제가 하루 8시간 주 16시간 근무로이번달 15일에 입사하여 주말알바를 시작했는데요.이번달에 총 6일을 근무할 예정인데이번달 월급이 들어왔는데기본급(803,000)/31 x 17로 계산되서440,400원으로 들어왔는데이러면 시급으로 환산시 최저가 안되더라구요..이렇게 받는게 맞는건가요?월급제는 처음이라 금액 계산이 어렵네요.저는 주말만 일하는 주말알바니까일할 계산시주말에 16시간을 근무하면 해당 주를 다 근무일로 쳐줘야 한다고 보는데아닌가요..?803,000원이 주 16시간 일하는 알바 월급으로 적정한지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