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토종 AI 챗봇 딥시크(deepseek)는 찻잔 속 태풍일까, 게임 체인저일까
딥시크 충격으로 엔비디아는 어제 약17% 급락하면서 단번에 880조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습니다.
중국 수출 규제로 값싼 엔비디아 GPU로 개발한 AI 챗봇이 현재 기준 챗GPT와 구글 챗봇 보다 상당 부분 성능이 더 좋다는 평이 나오면서 파란을 일으켰습니다.
익히 알려진 바대로딥시크는 량원펑이라는 40대 개발자가 개발했고 공학 분야 명문인 저장대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말이지 딥시크는 순수한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인 셈입니다.
량원펑은 대학 친구와 하이-플라이어(High-Flyer/https://www.high-flyer.cn/en/ )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한 후 딥시크 개발을 위한 자금을 끌어 모았다고 합니다.
그럼 중국산 AI 챗봇 딥시크는 찻잔 속의 태풍이 될 것일까요? 아니면 거대한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일까요?
필자는 후자의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됩니다.
대규모 사이버 공격이 예상되어 구글을 통한 회원가입이 잘 안되다가 겨우 가입을 한 후 간단히 질문을 해 보았습니다.
문자를 읽어 대는 LLM(Large Language Model)과 오픈 소스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 하자면 그냥 대놓고 다 까고서 개발하고 오픈 하겠다고 합니다. 차별화 요인으로는 기존 상업적 챗봇에 대한 열린 접근을 취하겠다는 것이고 일반적인 챗봇의 기능을 넘어서는 수리와 논리를 갖춘 LLM을 제공하겠다고 합니다. 구글 등 기존 서치 엔진과의 향후 다방면에서 격전이 예상되고 지적 재산권 문제까지 비화될 수 있을 듯하면 구글 측에서 딥시크 접속 자체를 차단하려 들 것 같기도 합니다.

이제 챗GPT와 구글 챗봇은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미국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는 미국 AI 업계와 엔비디아를 향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성하라고 합니다. '미국 산업에 경종...여러분도 할 수 있다.'
가성비로 소문난 중국이 큰 사고를 친 것 같습니다. 겉멋든 선진국 하이테크 산업에 경종을 울렸습니다. 좋던 싫던 딥시크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듯합니다.


- 멤버십 전용NEW경제왜 고배당 일반주들 중에는 브라질 주식이 많을까?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핀비즈 같은 미국주식 스크리닝 사이트에서 배당수익률 순위만 봐도 미국 배당주 상위권에 브라질 기업들이 죄다 포진해 있다는 걸 한 번쯤 보셨을 겁니다. 페트로브라스, 발레, 이타우 유니방코, 브라데스코 같은 회사들이 기본 7~8%씩 쏘고 PBR은 15%까지 찍어주죠. 여기엔 남미 특유의 사연이 녹아 있습니다.고건・00154
- NEW경제배당 수익률 10% :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신규 발행 우선주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MicroStrategy의 신상 우선주 STRC 이야기를 할 텐데, 공모에서만 25억 달러를 모았던 우선주입니다. 물론 이 돈 대부분은 비트코인 사들이는 데 쓸 거라는 거, 다들 이미 짐작하셨을 겁니다. 공모가 기준 실질 수익률은 10%가 일단 나온다고 하네요.1. STRC 우선주, 뭐 하는 녀석인가MicroStrategy(MSTR)가 찍어낸 우선주고 액면가는 100달러, 공모가는 90달러총 발행 규모가 2.5억 주, 즉 25억 달러 수준까지 조달만기 없는 영구채 스타일이라 원금 회수보다는 원하는 기간 동안의 배당 수령이 주목적초반 연 9% 고정 배당, 매달 말에 현금으로 바로 쏴줌. 공모가가 할인된 90달러라 실제 연 수익률이 10% 수준배당 못 주면 누적(cumulative) 구조라 미지급 배당이 계속 쌓이고 이거 다 갚기 전엔 보통주 배당 한 푼도 못 나감STRC의 배당률은 매월 MSTR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데 아무리 깎아도 SOFR(미국 단기금리고건・20614
- NEW경제배당 수익률 7.4% : 브룩필드 인프라 후순위 회사채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글로벌 인프라 기업이 발행한 후순위 회사채 하나 소개드립니다. 2024년 5월에 발행됐고 만기는 무려 2084년, 조기 상환만 안 당한다면 한 세대는 들고 갈 수 있겠지만 뭐 언젠가 조기 상환을 하겠죠. 연간 배당 수익률이 7%가 넘으니 한 번 살펴볼 가치는 있겠습니다.1. Brookfield Infrastructure Partners L.P.(BIP) 소개BIP는 캐나다에 본사 둔 글로벌 인프라 투자 운영사. 전 세계 전력, 가스, 철도, 도로, 항만, 파이프라인, 통신탑, 데이터센터 같은 필수 인프라 자산을 다 주워담고 있음2008년에 Brookfield Asset Management에서 독립해서 현재는 모회사 지분 30%+ 들고 있는 핵심 계열사 포지션총자산 1,000억 달러 넘기고 연매출도 200억 달러 대로 찍는 대형 플랫폼이라 유동성이나 자금줄 말라죽을 걱정은 별로 없음사업영역이 지독하게 분산돼 있어 한두 섹터가 망가져도 전체가 흔들릴 확률 낮음고건・10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