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고전을 찾아서 떠나는 대여행 - 삼각의 완벽성, 삼국지....
Preface
금주의 잉크는 하루를 당겨서 쓰기로 하였습니다.
두가지 이점을 발견을 하였습니다.
주말 내내 무엇을 쓸지 고민을 줄일수 있다는 점과, 고민하다 한주를 그냥 빼먹는 건너뛰기를 방지할수 있다는 점입니다....
삼각형의 완벽성으로 인하여 시대를 초월한 히트작으로 남아있는 삼국지... 그 중심의 최고 재미를 주는 삼각관계...
삼국지는 또 읽고 또 읽어도 재미가 있습니다.
제갈량의 적벽대전, 유비-관우-장비의 무용담... 조조 손권 등 삼국의 영웅들...
그런데, 유독 이 삼국지가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장시간 히트를 기록하는 이유는 이 "삼각형"의 안정성과 긴장감을 주제로 하였다는 것이, 역시나 몇천년의 역사동안 3각의 경쟁과 대립 및 상호발전 교류를 이룬 동아시아의 3국에서 히트한다는 것이 참 신기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본 편에서는, 이 삼각의 완벽성을 보여주는 삼국지 중에서도 가장 재미있는 편으로 유비-관우-장비, 조조 등이 아닌.... 동탁-여포-초선의 삼각관계 편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특히, 동탁-여포는 초기 삼국지 스토리 상에서는 천하에 대적할만한 자가 없어보이는 슈퍼콤비로 나오는데 결국 초선이 끼어들며 삼각관계를 이루다 둘다 자멸하고 맙니다..
이로 인하여 다시 삼국의 대립이 메인스토리로 대전개된다는 것이 참 신기하다는 것입니다!!
중국4대미녀에도 당당히 한축을 담당하는 초선은 일본의 비디오게임사 KT (KOEI-TECMO)사의 장수 인기시리즈 진삼국무쌍에도 당당히 Playable 캐릭터로 등장하는 등 사이버세계에서도 맹활약 중이라는 것 또한 참 대단하다고 하겠습니다!!!!



- 학문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안녕하세요!과학으로 세상과 소통하는과학 커뮤니케이터 이중철 전문가입니다. 👩🔬 요즘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손가락질 받는 물질, 바로 플라스틱이죠. 🥤💧🧸 페트병, 일회용 컵, 장난감까지 우리 삶 어디에나 플라스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플라스틱은 인류가 상상만 하던 '꿈의 신소재'였다는 사실!1950년대, 플라스틱 개척자 ‘락희(樂喜)화학’의 탄생?!그리고 국내에서는 국내 최초,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도입과 플라스틱 가공 제품을 생산한 바로 그 기업!우리에게 익숙한 LG라는 대그룹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지요~.🫣과연 이 물질에는 어떤 과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기에, 인류의 혁신을 이끌었다가 환경의 적으로 전락한 걸까요? 원유 한 방울의 변신, 플라스틱의 탄생🛢️➡️♻️혹시 플라스틱이원유(crude oil)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아시나요?이중철 전문가・41750
- 학문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김지호 박사・60899
- 학문산과 염기산(Acid)과 염기(Base)의 정의1)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Proton 기준)산(Acid):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내놓는 물질 ex) HCl → H⁺ + Cl⁻염기(Base):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받아들이는 물질 ex) NH₃ + H⁺ → NH₄⁺2) 루이스 정의 (전자쌍 기준)산(Acid): 전자쌍을 받는 물질 (전자 수용체) ex) BF₃염기(Base): 전자쌍을 주는 물질 (전자 공여체) ex)NH₃즉,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는 H⁺ 이동에 초점, 루이스 정의는 전자쌍 이동에 초점을 둔 것입니다.김지호 전문가・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