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응급상황: 치아가 깨졌어요
안녕하세요. 아하 치과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
지금까지 아하 QnA에서 받은 수천여개의 질문들 중 공통적으로 궁금해 하는 부분을 주제로 선정하여 자세하고, 이해하기 쉽게 다뤄보는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제 글을 통해 치과와 관련하여 조금이라도 도움 되는 지식들을 챙겨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치아 외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각종 사고로 인해 치아가 깨지거나 빠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적절한 대처를 통해 치아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황별로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치(어린이치아)가 빠졌어요
다양한 상황 중 그래도 응급 상황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경우입니다. 유치는 아래 앞니를 시작으로 만6~7세부터 만12~13세까지 빠지고 영구치로 교환됩니다. 영구치가 유치 하방에서 밀고 올라오면서 유치의 뿌리(치근)가 흡수되어 많이 흔들리는 상태가 되고 집에서 자연스럽게 빠지거나 흔들다가, 장난치다가 빠지기도합니다. 그래서 때로 보호자분들은 유치가 빠지긴 했는데 뿌리 부위가 없이 짤막해서 혹시 온전히 유치가 빠진게 아니라 부러진게 아닐까 싶어 치과를 오는 경우도 많은데요. 대부분의 경우 치아 뿌리가 흡수된 상태의 유치가 정상적으로 빠진 것일 확률이 높습니다. 유치 발치 부위 출혈이 다소 있을 수 있으니 멸균된 거즈로 30분 정도 압박지혈해주면 좋습니다.
유치가 깨졌어요
보통 걷기 시작하는 2세,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8~10세에 넘어져서 치아가 파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구치도 있는데 '유치'가 부러진 경우로 특별히 지칭한 것은 영구치가 부러진 상황과 다소 대처 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중요한 건, 유치 하방에 있는 영구치 새싹(치배)이 손상되지 않았는가 입니다. 영구치 치배가 멀쩡하고 애초에 곧 유치가 빠질 시기였다면 부러진 유치를 빼주고 영구치가 잘 나올 수 있도록 관찰하기도 합니다. 아직 유치가 빠질 시기가 아니라면 부러진 정도에 따라 떼워주거나 신경치료를 하고 씌우기도 합니다. 만약 영구치 치배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대로 영구치가 자라나오지 않을 수도 있고 이런 경우 손상된 유치 치료를 완료하고 최대한 오래 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앞니가 깨졌어요
영구치 앞니가 깨진 경우입니다. II급 1류 부정교합으로 앞니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 외상에 더 취약하기도한데요. 어쨌든 앞니의 경우 미관상 역할도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서 치료합니다.
1) 앞니 끝부분만 살짝 깨진 경우 -> 거친 부분을 다듬어서 그대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처치 후 치아 상태가 온전한지 2주, 한달, 6개월, 1년 체크를 이어서 진행합니다.
2) 1/4 이하로 깨진 경우 -> 치아 안쪽 신경이 노출되진 않은 정도로 깨진 경우이고 치수염의 증상이 없는지 1~2주 체크 후 레진으로 떼워 원래 치아 모양을 복원합니다.
3) 1/3 이상 깨진 경우 -> 신경이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출혈이 있거나 치아 변색, 시린증상이 심합니다. 신경치료 후 치아를 크라운으로 씌워줍니다.
깨진 조각이 온전하다면 이를 활용하여 다시 치아 모양을 복원해볼 수도 있으니 잘 챙겨서 치과에 내원하시면 됩니다.
치아가 빠졌어요
외력으로 치아가 아예 빠지는 경우(탈구)도 있습니다. 이때는 시간이 아주 중요합니다. 치과까지 1시간 이내로 내원해야 치아 재식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치과에 올때 빠진 치아는 침이나 생리식염수, 우유에 담아오거나 아니면 혀 밑에 두고 삼키지 않고 오면 좋습니다. 치아 재식술시 옆 치아와 철사와이어로 묶어주고 1개월 후 체크를 하고 신경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치아가 빠지진 않았는데 외상 후 통증이 있어요
다행히 외력은 해소가 되어서 치아에 직접적인 손상(파절)은 없으나 치아주위조직이 영향을 받은 경우입니다. 치아주위조직이라하면 치아를 감싸고 있는 치조골(잇몸뼈), 치조골과 치아를 연결하는 인대(치주인대)등이 있는데요.
1) 치주인대가 힘을 받아 일시적으로 늘어난 경우를 '치아진탕'이라하고 치아 통증이 있습니다. 외상 치아가 힘, 자극을 받지 않도록 잘 쉬어주면 보통 2주~한달 이내 증상은 해소됩니다. 흔히 발목이 삐었다고 표현하듯이 치아, 치주인대가 일시적으로 놀라 긴장상태인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일부 치주인대에 반영구적 손상이 일어난 경우를 '아탈구'라고 합니다. 통증이 있고 잇몸에서 피가나거나 약간의 치아 움직임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진탕과 마찬가지로 2주 정도 지켜보나 신경치료를 하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치조골 파절'은 외력이 치아가 아니라 잇몸뼈쪽으로 향한 것이고 조치를 위해서는 대학병원 응급실 내원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의료상담치과에서도 원인을 못 찾은 턱 통증, 혹시 이런 문제일까요?턱 통증, 치과 문제가 아니라면?턱에 통증이나 씹는 근육(저작근) 근력 약화때문에치과에 가보셨으나 이상이 없다고 별다른 치료를 하지 못하고 계시는 분들이 계셔서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턱에 불편함이 있거나 씹는 기능이 저하되고 해당 근육에 통증이 느껴진다면의심해볼만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목 통증과 턱 통증의 연결고리혹시 목 통증이 있거나 경추 디스크가 있으신가요?만약에 목에 디스크나 다른 질환이 있다면,경추 디스크가 저작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물지만, 간접적인 긴장 유발 등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보통 경추 디스크로 목, 어깨, 팔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턱주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저작근 운동에도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일부 논문에는 목의 안정성이 턱관절 장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도 있습니다.이러한 경우라면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 싱경외과 등을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박인국 물리치료사・20888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최종편)여러분들께 저의 경험을 스토리에 따라서 함께 공유드릴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흉터 성형수술의 적절한 시기는?보통 3-6개월 이후 흉터가 안정화 되고 시행하는것이 결과가 좋습니다.구축성, 켈로이드, 비대흉터 혹은 근육의 기능적 결함에 따라 수술시기는 빨라질 수도, 늦혀질 수도 있습니다.흉터가 생각보다 많이 남겠군....이라고 생각하며 6개월 후 수술을 하겠다고 생각을 하고 지내기로 하였습니다.봉합후 9일째, 실밥풀고 3일째 사진보습열심히 하고 흠만 매꿔주다가 흉터남으면 그부분만 흉터성형수술을 다시 해야지~ 라고 말입니다.아! 그동안 실밥풀고 2주가 지나서는 더이상 듀오덤드레싱은 의미가 없을것 같아 시행하지 않고와이프가 세로 미간주름을 예방하기 위해 보톡스나 맞자 해서 와이프의 병원에 방문하여4개월 간격으로 미간 보톡스만 투여 받았습니다. 이 동안 해외여행도 4군데나 다녀왔는데요, 실밥풀고 3주가 된때 다녀온 해외 여행 기간동안에는 밖에 외출시에는 선크림과 모자를 필수로 열심히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521,918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3)3탄입니다!실밥제거후 3일 후, 즉 봉합 후 9일째가 됬을때 찍은 사진 공유드립니다.5일째 반틈, 6일째 전체를 실밥 제거했지만 조금 남은 지네발과 같은 흠이 있고눈썹으로 이어지는 아랫쪽 부분은 염증반응과, 괴사로 인해서 상처가 일부 작은 착색도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2편에서 말씀드린 것과같이 여기서는 선택 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실밥제거 후 도대체 뭘 할수 있을까? (저의 상처에 대해서 한정, 환자분들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치료할 수 있음)흉터연고 - 대다수의 흉터연고는 튀어나온 흉터에 대해서 상처를 조금 낮춰줄 수 있습니다.저는 상처의 튀어나옴이 없어서 흉터연고 및 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습니다.레이저 - 착색량이 많지 않았기에 굳이 레이저를 사용하지도 않았습니다.보습 - 보습에 엄청 관심을 가졌습니다. 주위에서 영양분을 조금이라도 먹고 조직들이 잘 아물 수 있도록...홈이 있다면 듀오덤 드레싱 지속하기 - 하지만 듀오덤 드레싱이 피부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302,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