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혼다와 닛산 합병, 인사관리 전략은? (1)
혼다와 닛산이 합병을 하기로 했다. 노무사의 생각은?
안녕하세요. 노동법률사무소 필화, 염상열 노무사입니다.
지난 23일(현지시각) 혼다와 닛산은 합병을 검토하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습니다. 여기에 미쓰비시도 동참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합병은 한 회사를 존속시키고 다른 회사를 흡수하는 흡수합병과, 모든 회사를 해산하고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는 신설합병이 있습니다. 해당 MOU에 따르면 양사는 공동지주회사를 설립한 다음 지주회사가 혼나와 닛산을 흡수한다고 합니다. 해당 내용으로 보아 신설합병으로 보입니다.
해당 합병이 성사되면 일본 자동차 업체 지각변동이 예상됩니다. 규모의 경제 실현으로 자동차 가격이 낮아져, 가격 경쟁력이 상승해 자동차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플랫폼 및 기술 공유로 인한 시너지 효과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닛케이 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위 토요타그룹, 2위 폭스바겐그룹, 3위 현대차 기아입니다. 혼다는 7위, 8위는 닛산. 미쓰비스는 순위권에 들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3사가 합병하는 경우 3위로 우뚝 서게 됩니다. 사실상 대한민국 기업인 현대차 기아를 제친 것입니다. 3위 순위는 단순히 현재 판매량을 합쳐서 나온 결과입니다. 규모의 경제 실현으로 소비자를 더 유인하는 경우 2위까지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합병은 단순히 기업만 합친다고 될 문제가 아닙니다. 해당 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도 합쳐지기에 조직문화 관리도 신경써야 합니다.
조직문화가 왜 중요한가?
합병을 하면 경영 전략상, 영업상, 재무상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직문화가 맞지 않아 업무 비효율이 초래되는 경우 해당 이점을 상쇄하고 나아가 부작용만 커져 합병을 실패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벤츠와 크라이슬러 사례를 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업체인 벤츠와 크라이슬러는 양사의 문화 차이가 있음에도 억지로 합병을 추진했습니다. 당시 합병 이유로는 고급 차량을 판매하는 벤츠와 대중적인 차량을 판매하는 크라이슬러가 합병한다면 시장점유율을 대폭 확대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습니다.
시장점유율 확대라는 영업적 동기를 목적으로 합병을 하는 것은 좋으나, 양사가 다른 문화를 가졌다는 사실은 간과하였습니다. 벤츠는 수직적, 업무위계를 중시하는 반면 크라이슬러는 수평적 조직문화를 가졌습니다. 이러한 조직문화는 직원들간의 분란을 일으켰고 직원들의 사기저하 및 소통 단절로 이어졌습니다. 양사는 프로젝트팀을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결국 양사를 분리하는 결정으로 귀결되었습니다.
※ 참고. M&A를 실행하는 목적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① <경영 전략적 동기> : 성장기업의 지속성 유지, 연구개발의 효율성 제고, 첨단 기술 도입 등
② <영업적 동기> : 시장 점유율 확대, 규모의 경제 효과 제고
③ <재무적 동기> : 경영다각화에 따른 위험 분산, 자금 조달 능력 확대, 조세절감 효과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에드가와 샤인에 따르면 조직문화란 "한 집단이 다양한 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 사고 및 반응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흔히 조직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되어 당연시되는 내재적 가정", "일정한 패턴을 갖는 조직활동의 기본가정과 신념"입니다.
기업문화, 사풍이라고 할 정도로 조직문화는 기업마다 다르고 또 다양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다양할지라도, 어느 정도 공통된 부분이 있어 일정한 기준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학자에 따라 조직문화를 분류하는 기준이 다릅니다. 딜과 케네디는 조직문화를 '모험 감수성'과 '시간성'을 기준으로 하여 무법 남성형, 노력 유희형, 전심전력형, 관료절차형으로 구분했습니다.
퀸의 경쟁가치모델에 따르면 조직문화는 내부통합-외부지향, 유연성-통제에 따라 구분됩니다.
그 종류는 크게 네가지 입니다. (1) 관계지향 문화, (2) 혁신지향 문화, (3)위계지향 문화, (4)시장지향 문화입니다. 이외에도 해리슨 핸디모형과 트롬피나르스의 유형도 있긴 하나, 퀸의 경쟁가치모델이 가장 대표적인 모형으로 꼽힙니다.
(퀸의 경쟁가치모형에 따른 분류, 출처 : 김유미 노무사, 경영조직 전략노트)
(다음 편에 계속됩니다. )
" [기획] 혼다와 닛산 합병, 인사관리 전략은?" 총 세 편으로 기획됩니다.
독자가 질문을 하고 노무사가 이에 답하는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첫 번째 편에서는 해당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론 배경을 설명하였습니다. 본격적인 내용은 두 번째 편부터 시작합니다.
[기획] 혼다와 닛산 합병, 인사관리 전략은? (2)
퀸의 경쟁가치모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라
닛산과 혼다는 어떤 조직문화를 가졌는 퀸의 경쟁가치모형으로 설명하라.
닛산과 혼다는 합병에 성공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기획] 혼다와 닛산 합병, 인사관리 전략은? (3)
노무사는 노동관계법령이라는 거대한 법적 규칙 내에서, 기업의 <경제적 동기>와 종업원의 <사회적 동기>를 충족하는 인사노무관리 기법을 제시한다고 알고 있다. 혼다 닛산의 원활한 합병을 위한 대응책은?
[참고문헌]
김유미 노무사, 인사노무관리 전략노트, "M&A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인사관리방안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김유미 노무사, 경영조직 전략노트, "Ⅲ.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의 유형"
한겨레, "혼다-닛산, 오늘 '합병 협의' 양해각서 체결",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74427.html
경향신문, 일본 혼다-닛산, 합병 추진...현대차 글로벌 3위 자리 위협받나, https://www.khan.co.kr/article/202412181054001
머니 투데이, 세계 3위 '자동차 공룡' 탄생 예고..."혼다-닛산, 합병 공식화",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22315133461791



- 고용·노동근로계약서는 언제까지 작성하면 되나요?안녕하세요 김지훈노무사입니다. 근로계약서를 언제까지 작성하면 되는지 알려드립니다. Q: 신규로 직원을 채용했는데, 근로계약서는 언제까지 작성하면 되나요? 며칠은 일을 잘 하는지 살펴본 뒤에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싶은데 문제가 될까요?A: 근로계약서는 일을 시작하는 동시에 작성해야 합니다. 일하기 시작하기 전에 근로계약서를 먼저 작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시작한 이후에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일을 잘 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수습, 시용이라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니, 일단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근로계약서는 꼭 일을 시작할 때 같이 작성해야 하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김지훈 노무사・301,699
- 고용·노동직장 내 괴롭힘, 성립 여부보다 중요한 것은직장 내 괴롭힘이라는 말, 직장 생활을 하시는 분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텐데요. 그만큼 이제는 우리에게 익숙한 개념이 되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라는게 있다는 사실 정도는 대부분의 근로자나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으니까요.직장인 3명 중 1명은 갑질 경험을 당한 적 있다고 합니다. 사실 이러한 방식의 설문조사 자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설문조사로 ‘직장 내 갑질/괴롭힘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라는 방식으로 묻는 것은 주관적 경험에 근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이러한 설문조사는 실제 ‘근로기준법상의 직장 내 괴롭힘 성립요건’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직장 내 괴롭힘‘간의 인식 차이에서 오는 간극을 극복하기 어렵습니다.근로기준법상의 직장 내 괴롭힘 성립요건1. 우위성이 존재할 것2. 업무상 필요성이 없을 것3. 괴롭힘 행위로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입었을 것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사는 계속되어야 하고, 공론화되어야 합니다. 저 수치에 대한옥동진 노무사・101,398
- 고용·노동노동위원회 구제신청 이유서 작성법(부당해고, 부당전직, 부당인사발령 등)안녕하세요.노무법인 늘품의 옥동진 노무사입니다.오늘은 노동위원회 이유서 작성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열심히 다니던 회사에서 갑자기 징계 해고를 하거나, 그 외 다른 징계(경고 / 감봉 / 정직 등)처분을 했는데 이를 납득할 수 없다며 상담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회사에서 갑자기 이번달 까지만 나오라고 해서, 싫다고 했더니 징계를 했습니다.어떻게 해야하죠?이런 상황에서 근로자가 할 수 있는 법적인 대응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하나는 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등 구제신청'을 하는 것이고,다른 하나는 지방법원에 '해고 무효확인 소송(또는 근로자지위확인소송)'을 하는 것입니다.물론 둘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합니다.하지만, 해고 때문에 곧바로 법원에서 소송으로 다투는 것은 근로자 입장에서 쉽지 않습니다.소송은 기본적으로 시간도 오래 걸릴 뿐더러, 금전적인 비용 부담도 크기 때문입니다.이러한 노동 분쟁의 현실을 고려하여 법원보다신속하고 간편하게 권리구제를옥동진 노무사・601,308